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韓美 조선업 번영 위해 함께 가자”

입력 2025-06-24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조선 전문가 “놀라운 건조 속도에 경외감 느껴”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24일 경기 판교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한·미 조선협력 전문가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HD현대)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이 24일 경기 판교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한·미 조선협력 전문가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HD현대)

이번 협력은 단순한 인적 교류를 넘어 한·미 양국이 조선·해양 분야 기술과 비전을 공유하는, 진정한 해양 동맹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겁니다. 양국 조선산업의 발전과 번영을 위해 함께 갑시다.

HD현대가 한·미 양국 조선·해양 전문가들과 함께 상호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HD현대는 24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한·미 조선협력 전문가 포럼’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미국 현지서 ‘HD현대·서울대·미시건대’ 3자간 체결한 ‘한·미 조선산업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협력 업무협약’의 후속 조치다.

앞서 HD현대는 미국 정부의 조선산업 재건 의지와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혈맹이자 우방인 미국의 조선업 재건과 안보 강화 활동 지원을 위해 서울대 및 미시건대 등과 조선 인재 양성 사업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HD현대와 서울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이 포럼은, 새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한·미 양국 전문가들이 모여 실질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이날 HD현대 글로벌R&D센터에서 진행된 ‘한·미 조선협력 전문가 포럼’에는 앤드류 게이틀리 주한미국대사 상무공사와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또한 포럼을 이끌 전문가 집단으로 국내에서 서울대, 카이스트 등 7개 대학 교수들이, 미국에서는 미시건대, MIT 등 6개 대학 조선해양공학 교수들이 참석, 총 40여 명의 조선·해양 전문가들이 함께 했다.

이날 포럼은 정 수석부회장의 개회사로 시작됐다. 정 수석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협력은 단순한 인적 교류를 넘어 한·미 양국이 조선·해양 분야 기술과 비전을 공유하는, 진정한 해양 동맹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양국 조선산업의 발전과 번영을 위해 함께 가자“고 발언했다.

이어 한·미 양국의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미국 측 기조연설자로 나선 데이비드 싱어 미시건대학교 교수는 “이처럼 거대하고 복잡한 선박들을 놀라운 속도로 건조해내는 역량에 경외감을 느낀다”며 ”조선산업 재건을 위해서는 인재 확보가 필수인 만큼, HD현대와의 협력 확대는 미국 조선업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후 세션은 서울대로 자리를 옮겨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는 각 대학 및 기관별로 조선·해양 공학 교육 커리큘럼을 소개하고 운영 사례에 대한 상호 의견 교류가 이뤄졌다. 또한 인재 양성을 위한 한·미 간 공동 교육의 필요성과 육성 전략도 함께 논의됐다. 포럼 마지막 날인 25일에는 ‘스마트 야드’ 등 양국 간 공동 연구 주제가 다뤄질 예정이다.

앞서 미국 측 참가자들은 전날 HD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 상선 및 특수선 야드를 둘러보고, 스마트조선소 구축 및 자율운항 선박 기술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한·미 조선협력 전문가 포럼’ 2회차 행사는 올해 10월 미국에서 개최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018,000
    • +0.59%
    • 이더리움
    • 4,004,000
    • -0.74%
    • 비트코인 캐시
    • 717,500
    • +1.56%
    • 리플
    • 3,797
    • +8.58%
    • 솔라나
    • 220,800
    • -1.3%
    • 에이다
    • 989
    • +5.89%
    • 트론
    • 413
    • +2.99%
    • 스텔라루멘
    • 532
    • +28.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700
    • -1.73%
    • 체인링크
    • 20,870
    • +0.1%
    • 샌드박스
    • 392
    • -0.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