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ESG밸류채권제1호펀드' 동일 유형 펀드 내 수익률 1위 달성

입력 2025-06-23 10: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은 '삼성ESG밸류채권제1호펀드'가 중기채권형 공모펀드 가운데 최근 3개월 및 6개월 수익률 모두 1위를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이 두드러지면서 채권형 상품 중에서도 검증된 성과를 보인 펀드에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펀드평가사 KG제로인에 따르면 삼성ESG밸류채권제1호펀드의 3개월 수익률은 1.42%, 6개월 수익률은 2.76%로 수익률 1등을 달성했다. 모두 벤치마크를 상회하는 초과 성과다. 자금도 꾸준히 유입되며 지난해 6월 260억 원이었던 설정액은 최근 들어 3183억 원으로 증가해 설정액 증가 폭에서도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국내 증시의 단기간 급등과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 등 글로벌 변수 여파로 경기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가운데 차별화된 운용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성과와 투자전략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ESG밸류채권제1호펀드는 ESG 활동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기업들이 발행한 채권과 CP에 우선적으로 투자한다. ESG 요소를 고려한 투자는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여 채권 투자에 있어서도 더욱 견고한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 구성에서도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한다. 대부분의 크레딧 펀드가 저등급 채권에 의존해 성과를 높이는 것과 달리 PF(프로젝트파이낸싱) 관련 종목이나, 내부 규정상 제한된 고위험 업종과 종목은 철저히 배제하고, 평균 신용등급 AA0 우량 회사채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크레딧 안정성을 높였다. 더불어 저평가된 산업군과 채권을 선별하여 이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이 펀드는 중기채권형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듀레이션을 1~3년 범위 내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해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국내에서는 드물게 중단기 듀레이션의 크레딧 채권에 투자하며 안정적인 이자 수익은 물론 자본차익까지 함께 추구한다.

이러한 전략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삼성자산운용의 크레딧 분석 전담 인력과 리서치 조직이 구축한 '크레딧 유니버스 투자 프로세스'가 있다. 기업 신용도와 펀더멘털 분석을 통해 엄선된 크레딧 채권을 선별해 포트폴리오에 편입함으로써 신용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통제하고 있다.

곽태원 삼성자산운용 국내채권2팀장은 "현 시점과 같이 경기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금리가 하락할 경우, 자본차익과 크레딧 이자수익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며 "삼성자산운용의 기준금리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듀레이션을 탄력적으로 조절해 투자자에게 의미 있는 성과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 펀드는 초기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판매되었으나, 견조한 수익률과 안정적인 운용 성과로 최근 일반 투자자들로까지 판매 저변을 확대했다. 기존 삼성생명, 삼성증권, 신한은행, 메리츠증권에 이어 최근 하나은행에서도 판매를 시작, 판매사 라인업을 점차 늘려나가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 4.5일’ 공론화 시작됐다…산업구조 대전환 예고
  • 전국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 비…예상 강수량 '최고 150mm 이상'
  • 야닉 시너 윔블던 우승, 알카라스에 설욕
  • 지주사·가상자산 등 이재명·정책 테마 관련주 강세 [상반기 이 종목]
  • ‘고용 불안의 도시’가 된 실리콘밸리…근로자들, 극한 스트레스
  • 단독 메리츠화재, 8월 예정이율 전략회의⋯보험료 인상 눈치싸움
  • 조선대병원 수술실 화재 발생…환자 5명 연기 흡입·40명 긴급 대피
  • “코스피, 단기조정 여지 있지만…리레이팅은 계속된다” [하반기 이 업종]
  • 오늘의 상승종목

  • 07.14 14: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6,230,000
    • +3.79%
    • 이더리움
    • 4,128,000
    • +2.76%
    • 비트코인 캐시
    • 700,500
    • +1.74%
    • 리플
    • 4,010
    • +6.03%
    • 솔라나
    • 227,100
    • +3.23%
    • 에이다
    • 1,032
    • +4.45%
    • 트론
    • 413
    • +0.73%
    • 스텔라루멘
    • 663
    • +11.0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890
    • +2.99%
    • 체인링크
    • 21,880
    • +6.06%
    • 샌드박스
    • 446
    • +12.3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