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용 꾸린 ‘3대 특검’ 본격 수사 초읽기⋯내란 특검, 23일 尹 공판 첫 지휘

입력 2025-06-22 15: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채상병 특검’ 이명현 “尹, 수사 막바지 소환⋯대면수사 원칙”
김건희 특검, 추가 검사 파견 요청 검토⋯파견 검사 최대 40명
내란 특검, 23일부터 尹 재판 공소유지 담당⋯김용현 추가기소

▲ 채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 채상병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겨눈 3대(내란·김건희·채상병) 특검이 본격적인 수사 초읽기에 들어갔다. 김건희 여사와 채 상병 관련 의혹을 다루는 특검팀은 주말에도 사무실에 나와 출범 준비를 이어갔다. 가장 속도가 빠른 내란 특검팀은 23일 열리는 윤 전 대통령 재판부터 직접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관련 의혹을 맡은 이명현 특별검사는 22일 오전 출근길 기자들과 만나 수사 막바지에 윤 전 대통령을 소환하겠다고 밝혔다.

이 특검은 “다른 수사가 다 이뤄지면 (윤 전 대통령을) 마지막으로 소환할 것”이라며 “수사의 원칙은 대면수사가 원칙이고 서면 수사나 출장 조사는 원칙이 아니다. 원칙대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특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출국 과정도 수사 범위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3월 채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으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를 받던 중 주호주대사로 임명돼 출국하면서 논란이 됐다.

‘3대 특검 모두 윤 전 대통령 부부를 겨눠 수사가 겹칠 수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 특검은 “우리는 직권남용에 대한 수사”라며 “내란이 가장 중하지 않나. 중한 범죄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오후 진행될 류관석·이금규·김숙정·정민영 특검보와의 회의에서는 전반적인 법률 검토와 현재 내란 재판과 같이 주요 피고인들의 구속기간이 끝날 경우 대응 방안도 논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가 22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던 중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가 22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하던 중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윤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검과 특검보 4명, 파견 검사들도 이날 서초구 임시 사무실로 출근했다.

민 특검은 이날 출근길 취재진과 만나 추가 검사 파견 요청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1차로 5명의 부장검사를 파견받은 민 특검은 20일 법무부에 28명의 검사 파견을 추가로 요청했다. 특검법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팀은 최대 40명의 파견 검사를 둘 수 있다.

김 여사 관련 의혹 중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수사할 것이냐는 질문에 민 특검은 “아직 정하지 못했는데 차차 논의하겠다”며 "곧 사무실 공사를 시작해야 해 이날 내부 배치 등을 의논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특검이 2023년 10월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뉴시스)
▲조 특검이 2023년 10월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뉴시스)

3대 특검 중 가장 먼저 수사에 착수한 내란 특검팀은 23일 예정된 윤 전 대통령 8차 공판부터 직접 재판 대응에 나선다. 앞서 19일 조은석 특검은 검찰로부터 사건을 넘겨 받은 후, 내란 사건 공소 유지 담당 검사 전원을 파견받았다.

내란 특검은 이날 언론 공지를 내고 “23일 재판기일에 박억수 특검보가 출석해 공소유지를 담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23일 오후 2시 30분에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재구속 여부를 가를 구속영장 심문도 진행된다. 구속 심문에는 김형수 특검보가 출석한다.

앞서 18일 내란 특검은 김 전 장관을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증거인멸교사 혐의로 추가 기소했다. 동시에 법원에 보석 취소와 추가 구속영장 발부도 요청했다. 내란·직권남용 혐의에 따른 김 전 장관의 구속기간은 26일 만료된다.

김 전 장관 측이 이에 반발해 추가 기소의 효력을 정지하는 집행정지 신청을 냈지만,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조 특검의 김 전 장관 추가 기소가 적법하다고 판단한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583,000
    • +0.69%
    • 이더리움
    • 3,995,000
    • +0.25%
    • 비트코인 캐시
    • 691,000
    • -3.63%
    • 리플
    • 3,719
    • +1%
    • 솔라나
    • 218,300
    • -0.37%
    • 에이다
    • 960
    • +0%
    • 트론
    • 411
    • +1.23%
    • 스텔라루멘
    • 537
    • +10.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650
    • +1.02%
    • 체인링크
    • 20,480
    • -0.68%
    • 샌드박스
    • 389
    • +0.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