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삼성‧SK 중국공장에 장비 제한 통보
금리 인하 시점, 연준 내부서 이견

뉴욕증시는 20일(현지시간) 중동 정세를 예의주시하는 가운데 반도체주 중심으로 매도세가 유입되며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5.16포인트(0.08%) 오른 4만2206.82에 마무리했다. S&P500지수는 13.03포인트(0.22%) 밀린 5967.8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8.86포인트(0.51%) 내린 1만9447.41에 마감했다. 전날 뉴욕증시는 노예해방 기념일인 ‘준틴스 데이(Juneteenth day)’로 휴장했다.
장 초반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향후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시장은 반응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총재가 이르면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3대 지수가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주요 지수는 하락세로 돌아섰다.
18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연준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고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불분명하기 때문에 경제지표를 계속 주시하겠다고 말한 것과는 다른 기조다.
월러 총재가 7월 금리 인하를 언급한 날에도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동시에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말하면서 상반된 의견이 제시돼 내부 분열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특히 장중 반도체주가 하락세를 주도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 내 공장에 대한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한다는 방침을 통보했다. 미 상무부에서 이번 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대만 TSMC에 이 같은 방침을 통보했다는 것이다.
이에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떨어졌다. 엔비디아는 1.12% 하락했고 뉴욕증시에 상장된 대만 TSMC 주식예탁증서(ADR)도 1.87% 내렸다.
시장은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에도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스라엘군에 이란 내 ‘전략적 목표’와 ‘정부 목표물’에 대한 공격 강도를 높이라고 지시했다고 전해졌다.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군사 공격 여부를 향후 2주 내 결정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우선 중동 상황을 지켜보자는 신중론도 제기됐다고 CNBC방송은 설명했다.
샘 스토발 CFRA리서치 수석 투자 전략가는 “세상이 이렇게 불확실성에 휩싸인 상황에서 누가 주말에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싶어 하겠나”라며 “지정학적 활동이 진정된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6월 제조업 활동 지수는 전달과 같은 마이너스(-)4.0으로 집계됐다. 시장 예측치(-1.0)을 하회하면서 경기 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기준선 ‘제로(0)’를 지난 4월부터 3개월 연속 밑돌고 있다.
주간 기준 이날 S&P500지수는 약 0.2% 하락했고, 다우지수는 0.02% 상승했다. 나스닥지수는 0.2%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