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 여조, 아직 결론 안 나…당장 결론은 무리·성급"
"혁신위, 김용태 제안 다듬고 확장·발전시키는 과정"
"추경, 물가 상승 압력 나타나…국가 채무 부담도"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8일 조기 전당대회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3선 및 4선 이상 의원들과의 간담회를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나 "어제 오후와 금일 오전 선수별 모임을 마쳤다. 많은 의원이 조기 전당대회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을 해줬다"며 "조기 전당대회를 할 수 있도록 진행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날 초·재선 의원들과도 간담회를 가졌다.
다만 그는 "그런데 (전당대회) 준비 과정과 날짜를 정하는 모든 것들이 다 최고위원회의 의결 사항이라고 한다"면서 "비상대책위원장을 제외한 비상대책위원들이 공석이기 때문에 다소 정치적 의사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실무적으로 최대한 빨리 (전당대회를) 할 수 있는 날짜가 언제가 되는지를 준비하겠다"고 했다.
송 원내대표는 '정치적 의사결정'과 관련해 '이달 30일 김용태 비대위원장 임기가 끝난 후 새 비대위원장을 임명하거나 (본인이) 당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결정하겠다는 의미인가'라는 질문에 "그것도 하나의 정치적 의사결정이 될 수 있다"며 "전당대회를 조기에 하자라는 건 여러 방식이 있을 수 있는데, 지금으로선 결정된 게 없기 때문에 '정치적인 의사결정이 있을 수 있다'까지만 말씀드린 것"이라고 답했다.
또 '최고위의 경우 최고위원들이 사퇴하면 자동으로 없어지는데 비대위에도 해당 내용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나'라는 질문에는 "당헌·당규의 해석에 관한 사항인 것 같다"며 "해당 부분이 비대위에 바로 적용된다는 규정은 없다는 것으로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런데 우리 당헌·당규의 다른 규정들을 원용해서 생각해보면 그 해석(비대위원 사퇴 시 비대위 자동 붕괴)이 가능하지 않으냐는 의견도 있다"면서 "명시적으로는 비대위원이 사퇴했을 때 비대위가 자동으로 무산된다 이런 규정은 없는 거로 들었다"고 부연했다.
그는 김 비대위원장이 제안한 5대 개혁안 관련 전 당원 여론조사에 대해선 "당원 여론조사를 안 하는 것으로 결론 난 것은 아니다"라며 "의원들 의견이 갈리고 있는데, 당장 결론을 내리기는 다소 무리가 있고 성급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송 원내대표는 당내 혁신위원회 설치와 관련해서는 "많은 의원이 혁신위를 출범시켜야 한다는 데 의견을 함께했다"며 "김 비대위원장이 제시했던 안을 포함해서 우리가 당내 혁신과 원내 운영을 위해 여러 변화와 쇄신이 필요한 부분이 많다. 그런 의견들을 모아 혁신위도 조기에 착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게 좋겠다는 의원들의 뜻에 따라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김 비대위원장이 앞서 이날 오전 '혁신 의지가 강하다면 지금 즉시 개혁안을 실행하면 되는데 혁신위 통해 개혁안을 공전시키겠다는 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비판한 데 대해서는 "공전시키는 게 아니라 당 쇄신과 변화가 필요하다는 김 비대위원장의 고뇌에 찬 제안에 대해 좀 더 다듬고 확장·발전시키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혁신위를 당 기구로 하는지, 원내 기구로 하는지에 대해서는 "그 부분은 중요한 부분은 아닌 것 같다"며 "중요한 건 어떤 방향으로 어떤 걸 가져갈 거냐 하는 것이지 그게 당 기구냐, 원내 기구냐 하는 건 형식적인 부분"이라고 했다.
아울러 송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35조 원 규모의 추경안과 관련해서는 "경제가 워낙 어렵기 때문에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여당으로서의 책임감 때문에 재정도 확장적으로 사용하겠다는 기본 취지는 이해가 간다"면서도 "그러나 경기를 살리기 위해 재정을 확장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물가 상승 압력으로 나타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추경을 하더라도 재원을 어디서 마련할 것이냐는 문제가 있다"며 "지금 세수가 당초 예상보다 부족해 세입 경정을 한다는 얘기까지 하고 있지 않나. (이는) 국가 채무에도 부담이 되는 추경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