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국정기획위, 국민 정책제안 플랫폼 연다

입력 2025-06-17 15:4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AI·빅데이터 활용해 작은 목소리도 정책에 반영
문재인 정부와 달리 공론화 과정 거쳐 국정과제 채택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국정기획위원회 1차 전체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에서 국정기획위원회 1차 전체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정기획위원회가 국민들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 플랫폼을 18일 개통한다. 이재명 정부의 '국민주권정부' 실현을 위한 첫 걸음으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작은 목소리도 놓치지 않고 정책에 반영하겠다는 구상이다.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은 17일 서울정부청사 창성별관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국민들이 쉽게 정책을 제안하고 참여할 수 있는 소통 플랫폼 개통을 위해 마지막 점검을 하고 있다”며 “가능하면 내일 오픈을 목표로 마지막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플랫폼 명칭은 3일간의 국민 공모를 통해 정해진다. 조 대변인은 "국민들이 쉽게 정책을 제안하고 참여할 수 있게 목소리 하나하나 귀담아 듣도록 하겠다"며 "목소리를 정책으로 바꾸고 제안된 정책들이 집행되는 것을 통해서 국민들이 주권정부의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플랫폼은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조 대변인은 "제안하신 내용은 AI 빅데이터를 통해서 누수되지 않도록 작은 목소리도 챙기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플랫폼 운영은 곧 출범할 국민주권위원회가 맡는다.

문재인 정부의 '국민청원' 시스템과는 운영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기존에는 공감이나 추천 횟수에 따라 의제가 채택됐지만, 이번에는 토론과 공론화 과정을 거친다. 조 대변인은 "문재인 정부때와 다른 양상"이라며 "지금은 주어진 의제에 대해 공론화를 거치는 과정이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면 '모두의 Q'를 통해 (정책) 제안을 받고 주제에 대해 주제별 토론을 했고 녹서로 정리했다"며 "토론, 공론화 과정을 거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리된 국민 목소리가 국정과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사후 보고하겠다"고 덧붙였다.

국정기획위는 18일부터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부처별 업무보고를 본격 시작한다. 첫날인 18일에는 '경제성장과 민생회복'에 방점을 두고 오전에는 기획재정부, 오후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업무보고가 진행된다.

조 대변인은 "내일부터 부처별 업무보고를 오전 오후 나눠 진행한다"며 "편의를 위해서 분과위원회별로 컨벤션센터에서 진행한다"고 밝혔다

국정기획위는 현재 △국가비전 TF △조직개편 TF △국정운영 5개년 계획 TF △재정계획 TF △조세개혁 TF 등 5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조 대변인은 "4개 TF는 국정기획 분과 중심으로 해서 TF가 구성돼 있고, 지금 현재 어느 정도 거의 다 윤곽은 잡혀 있는 상태"라며 "내일 운영위 회의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코레일, 오전 9시부터 열차 운행 재개⋯교외선은 복구ㆍ점검 후 재개
  • LG유플러스, AWS 손잡고 AI ‘익시젠’ 글로벌 시장 도전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서울 강남 소형 아파트 '40억' 찍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870,000
    • +0.25%
    • 이더리움
    • 4,970,000
    • +2.16%
    • 비트코인 캐시
    • 716,500
    • +2.21%
    • 리플
    • 4,658
    • -1.17%
    • 솔라나
    • 243,900
    • +0.91%
    • 에이다
    • 1,143
    • +2.05%
    • 트론
    • 439
    • -0.9%
    • 스텔라루멘
    • 632
    • -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80
    • +4.61%
    • 체인링크
    • 25,410
    • +3.25%
    • 샌드박스
    • 450
    • +2.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