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부대표·소통수석부대표 신설로 당정협력 체계 강화
16명 원내부대표단에 중진·초선 안배…당내 균형 추구
"상법 개정안 우선 처리" 민생·개혁 입법 동시 추진 의지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15일 발표한 원내대표단 인선은 이재명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면서도 당내 균형을 추구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친명(친이재명) 핵심 인사들을 주요 보직에 중용했고, 민생부대표와 소통수석부대표를 신설해 당정 협력·당내 소통과 민생 관련 정책 추진을 강화하려는 의도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 직무대행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원내대표단 인선을 공개하며 문진석 의원을 원내운영수석부대표로 임명했다. 문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정치 입문을 적극 지원한 '7인회' 멤버로, 21대 국회에서도 이 대표를 뒷받침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김 원내대표는 "여야 대화를 복원하고 국민이 신뢰하는 국회를 만들어갈 적임자"라고 소개하며 소통 창구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원내정책수석부대표에 임명된 허영 의원은 22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야당 간사로서 예산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물밑에서 여당과 긴밀히 협상에 임했던 경험, 그리고 1차 추경 편성에 기여했던 경험 등을 바탕으로 향후 민생 추경 편성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직무대행은 "민생 회복뿐 아니라 시급한 추경 편성과 운영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직무대행은 이번 인선에서 소통수석부대표직과 민생부대표직을 신설해 당정 협력과 당내 소통, 민생 관련 법안과 사회적 대화 등을 늘리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관련 뉴스
신설된 소통수석부대표직을 맡은 박상혁 의원은 원내 부대표, 디지털전략부단장, 공보단 부단장 등을 역임하며 쌓아온 풍부한 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중진과 초선 간 가교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선 의원으로서 당내 각 계파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온 박 의원의 임명은 원내대표 선거 과정에서 나온 당내 갈등을 봉합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른 신설 직책인 민생부대표에는 김남근 의원이 지명됐다. 김남근 의원은 당과 정부, 대통령실 간 당정대 협의에서 민생 현안을 전담하게 될 전망이다. 상법개정을 비롯한 자본시장법 등 금융 현안 과제와 쿠팡, 홈플러스, 플랫폼 노동 등 노동 과제 등 현안 법안을 다루는 한편, 사회적 대화에서도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김 직무대행이 "다음 주말부터 당정 협의를 시작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힌 곧바로 활동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16명으로 구성된 원내부대표단의 면면을 살펴보면 지역별, 당선 횟수별로 안배가 이뤄졌다. 수도권(김기표·김영환·김준혁·이건태·채현일), 호남권(김문수·권향엽·전진숙·조인철), 충청권(박용갑), 제주(문대림) 등 지역별 균형을 맞췄고, 비례대표(박홍배·오세희)도 포함됐다.
원내 대변인단으로 구성된 김현정·문금주·백승아 의원 3인 체제는 여성 의원들로 구성돼 당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메시지 전달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번 인선을 통해 이재명 정부 출범 초기 당정 협력의 기틀을 다지는 동시에, 야당과의 협상력도 강화하려는 의도를 밝혔다. 그는 "민생법안 가운데 상법 개정안을 가장 먼저 처리하겠다"며 경제 활성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은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과 궤를 같이할 것으로 예고했다.
다만 국민의힘이 요구한 법제사법위원장 교체를 거부한 것에 대해선 야당과 신경전이 예상된다. 김 원내대표가 "상임위 운영 규칙에 따라 2년마다 교체한다는 규정을 준수하겠다"며 원칙론을 내세웠지만, 야당에선 반발이 나올 전망이다.
김 직무대행 체제 원내대표단은 이재명 정부의 개혁 과제를 뒷받침하면서도 야당과의 협력을 이끌어내야할 과제를 안고 있다. 그의 "민생 법안, 민생 추경, 개혁 입법을 균형 있게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현실화하려면 비상계엄 과정에서 흐트러졌던 여야 간 신뢰 회복이 필요한 상태다.
그는 "당·정·대 협의와 을지로위원회를 활성화해 법안 처리 이전에 사회적 대화를 병행하겠다"며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