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은 12일 "예측 가능한 사고들이 무관심이나 또는 방치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사후적 책임도 아주 엄격하게 물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수해(장마) 대비 현장 점검을 위해 서울한강홍수통제소 홍수통제상황실을 방문해 "잘 먹고 잘사는 문제, 민생 문제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는 것을 공직자들이 각별히 마음에 새겨두면 좋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장마철, 기후위기 때문에 예측 못하는 자연재해 발생할 수도 있고, 산사태 등의 각종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문제는 최대한 그런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라며 "두 번째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피해가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신속한 복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제는 각 과정마다 우리 공무원들, 담당자들이 어떤 마인드로 대응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들이 발생한다"며 "자연 상황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지만 그것을 최대한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 우리가 나름 만들어 놓은 규칙, 매뉴얼들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 그리고 공직자들이 우리 국민의 재산과 안전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갖고 치열하게 대비하느냐에 따라 실제 결과는 아주 다르게 나타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실제로 재난 현장에서 우리 공무원들이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아주 심각한 결과가 발생하기도 하고, 또 심각한 결과가 예방되기도 하고, 확산이 막아지기도 한다"며 세월호 참사와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사고 등을 언급했다.
특히 "안전에 관한 생각, 또 안전 부서에 대한 마인드를 통째로 바꿨으면 싶다. 인력 배치부터 업무 성과에 대한 보상체계, 이런 것도 근본적으로 바꿨으면 한다"며 "보상체계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인사 문제에서 뭔가 근본적 대책을 수립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이 대통령은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당초 예정되지 않았던 일정으로 헌화와 묵념을 한 뒤 현장을 둘러 보고 떠난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