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이시바 총리 첫 통화…트럼프 이후 두 번째 정상 대화

입력 2025-06-09 14: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취임 이후 한일관계 중시 의지 표명
국교정상화 60주년 맞아 협력 강화
실용외교 기조 속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
한미일 협력 틀 안에서 지역안보 대응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위해 수화기를 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9일 정오부터 약 25분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취임 이후 첫 통화를 갖고 한일관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통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 이은 두 번째 정상 간 대화로, 새 정부의 외교 우선순위를 상징적으로 드러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이시바 총리와 첫 통화를 갖고 양국관계 발전과 지역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시바 총리의 대통령 취임 축하에 사의를 표한 뒤 "오늘날 전략적 환경 속에서 한일 관계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일 양국이 상호 국익의 관점에서 미래 도전 과제에 함께 대응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 정상은 상호 존중과 신뢰, 책임 있는 자세를 바탕으로 보다 견고하고 성숙한 한일관계를 만들어나가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특히 올해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인 점에 주목하며 양국 국민들 간의 활발한 교류 흐름을 높이 평가했다.

강 대변인은 "양 정상은 당국 간 의사소통도 더욱 강화하자고 했다"며 "향후 직접 만나 한일관계 발전 방향을 비롯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누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 대통령 취임 직후부터 "가능한 한 빨리 정상회담을 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의지를 표명해왔다. 6월 4일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이 확정되자 이시바 총리는 즉각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결과로 한국 국민의 선택에 경의를 표한다"며 취임 축하 의사를 전달한 바 있다. 그러면서 "일한 정상회담은 가능한 빨리 진행하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이날 통화에서도 조속한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일 협력과 관련해서도 양 정상은 그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미일 협력의 틀 안에서 다양한 지정학적 위기에 대응해나가기 위한 노력을 더해나가기로 했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중국의 부상 등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3국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보다 이시바 총리와 먼저 통화한 것은 한일관계에 대한 새 정부의 중요성 인식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한미동맹을 우선시하면서도 동북아의 핵심 파트너인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하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아울러 이 대통령의 이번 통화는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를 구체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념적 접근 대신, 현실적 이익에 기반한 실용적 외교를 추구하겠다는 의지다.

이번 통화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 일정도 구체화 될 전망이다. 양국 정상이 회담에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만큼, 조만간 실무 차원의 협의를 통해 정상회담 시기와 의제를 조율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 이시바 총리와의 연쇄 통화를 통해 주요국과의 외교관계 재정립에 나선 상태다. 조만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통화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새 정부의 외교 구상이 구체화될 것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예스24, 전 회원에게 상품권 5000원ㆍ크레마클럽 무료 30일 제공
  • 트럼프 “G7 조기 귀국, 이란·이스라엘 휴전과 관련 없어…그보다 훨씬 큰 문제”
  •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K-원전' 위상도 쑥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⑦]
  • 인형 사려고 몸싸움까지…'라부부 재테크', 시작해도 될까요? [이슈크래커]
  • 단독 지난해 경력변호사→검사 임용 10배 늘었지만…‘경력직’도 퇴직 러시 [검찰, 어디로]
  • “북미 전력 공급량 급증”…전력 기기 시장도 활황 [AI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中]
  • 소비자 만족도 최고는 '새벽 배송'…'결혼서비스'가 최악인 이유는? [데이터클립]
  • 티빙+웨이브 통합 요금제 출시…진짜 ‘하나’가 된 걸까? [해시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163,000
    • -1.88%
    • 이더리움
    • 3,523,000
    • -3%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1%
    • 리플
    • 3,042
    • -2.84%
    • 솔라나
    • 206,800
    • -4.04%
    • 에이다
    • 861
    • -3.91%
    • 트론
    • 381
    • -0.78%
    • 스텔라루멘
    • 356
    • -2.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510
    • +2.16%
    • 체인링크
    • 18,330
    • -3.48%
    • 샌드박스
    • 363
    • -3.7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