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변명만 있고 책임 지는 이는 없다[노트북 너머]

입력 2025-05-28 0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유승호 생활경제부 기자
▲유승호 생활경제부 기자
홈플러스 경영진이 기습 기업회생 신청을 한 지 세 달이 다 돼 가고 있음에도 여전히 이 물음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들은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대주주인 MBK파트너스(MBK)와 홈플러스가 하는 행동을 보면 이해하기 어렵다. 오히려 이들의 책임 회피는 사태 초기보다 더 심해졌다.

현재 홈플러스는 17개 임차 점포에 계약해지를 통보했다. 임대점포 임대주들과 임차료 조정 합의가 결렬된 탓이다. 그런데도 홈플러스는 지금도 일부 임대주와 협상 중이다. 홈플러스 주장은 “경영 정상화에 어려움이 있으니 임차료를 낮춰달라”는 것이다. 일련의 내용만 보면 마치 악덕 임대주가 홈플러스에 과도한 임차료를 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일차적인 책임은 MBK에 있다. 앞서 MBK는 세일즈앤리스백 방식으로 다수의 홈플러스 점포를 유동화했다. 영업으로 얻은 현금과 점포 매각으로 확보한 자금을 인수금융 상환에 우선 사용했다. 당장의 자금 확보를 위해 임차료 부담을 키운 건 MBK의 판단이었다.

홈플러스 경영진은 입점업체에도 책임 전가 중이다. 현재 일부 입점업체는 개별 포스기를 사용 중인데, 홈플러스가 기습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대금 정산이 밀리자 내놓은 자구책이다. 하지만 홈플러스는 이들에게 총 4번의 내용증명을 보내며 엄포다. “개인결제 단말기 사용으로 인해 매출 누락이 발생, 회생절차 조기 종료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직후에도 남 탓만 했다. 이들은 “재난지원금을 대형마트에서 쓸 수 없었고 이커머스 규제에 발목이 잡혔다”고 했다. 하지만 이는 본질을 흐리는 변명이다. 치열한 유통업계 경쟁과 소비 트렌드 변화에 뒤처진 경영진의 ‘무능’이 결국 기업회생을 야기했다.

MBK는 홈플러스 인수 후 단기 수익에만 몰두, 미래 성장 전략을 세우지 못했다. 과도한 차입 매수(LBO)로 재무 구조를 취약하게 한 것도 그들의 결과물이다.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사태는 대주주의 탐욕과 경영진의 무능이 빚어낸 결과물이다.

MBK와 경영진은 언제까지 남 탓 할 시간이 없다. 근로자와 임대주, 입점업체는 하나같이 MBK를 향해 이렇게 묻고 있다.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299,000
    • +0.95%
    • 이더리움
    • 3,964,000
    • -0.48%
    • 비트코인 캐시
    • 687,000
    • -3.98%
    • 리플
    • 3,647
    • -4.25%
    • 솔라나
    • 215,400
    • -2%
    • 에이다
    • 940
    • -6.19%
    • 트론
    • 406
    • +0.5%
    • 스텔라루멘
    • 511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710
    • -2.5%
    • 체인링크
    • 20,120
    • -3.96%
    • 샌드박스
    • 379
    • -3.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