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조 28일 파업 예고...서울시 "총력 대응"

입력 2025-05-26 14: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연휴가 끝난 뒤 첫차부터 준법투쟁(준법운행)을 재개한 7일 서울역 앞 버스환승센터 정류장에 버스들이 줄지어 서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연휴가 끝난 뒤 첫차부터 준법투쟁(준법운행)을 재개한 7일 서울역 앞 버스환승센터 정류장에 버스들이 줄지어 서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서울시는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26일 서울시는 시내버스 노조가 예고한 파업 시점을 앞두고 비상수송대책을 점검하는 한편 노동조합의 불법 조업방해 행위에 대비한 대응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조연맹은 27일까지 임금·단체협상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으면 28일 첫차부터 전국 동시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임금협상을 두고 노사간 입장 차이가 큰 만큼 파업 장기화가 우려된다. 이에 서울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최소 3일 이상 파업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지하철은 1일 총 173회 증회 운행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리고, 막차도 익일 02시까지 연장한다.

또한 서울 25개 자치구에서는 주요 거점 및 거주지에서 지하철역까지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총 117개 노선 625대를 운영할 예정이다.

실시간 시민 안내를 위해 120다산콜센터와 교통정보센터 토피스, 시 홈페이지와 SNS 계정, 도로전광판, 각 정류소의 버스정보 안내 단말리 등을 통해 교통정보도 제공한다.

작년 시내버스 파업 당시 일부 운전기사들이 파업 종료 이전 업무에 복귀해 임시노선을 운행한 사례가 있는 만큼 올해도 운전기사들의 업무 복귀 정도를 고려해 임시 노선을 운영할 예정이다.

셔틀 방식 임시노선의 경우 차량 전면부에 운행구간 및 셔틀버스임을 표시할 예정이다. 전 구각을 운행하는 노선의 경우 정류소별 BIT에 도착 정보를 표출한다.

또한 작년 파업 당시 노조의 불법적인 조업 방해 행위가 있었던 만큼, 올해는 차고지별로 공무원을 파견해 노조가 위법한 방법으로 조업을 방해할 경우 경찰과의 긴밀한 업무 협조를 통해 신속하게 조치할 예정이다. 불법 행위는 현행법에 따라 조치 및 처벌 가능하다.

올해 전국 단위의 동시 파업이 예고돼 있어 인천·경기 지역 버스도 파업에 참여할 경우 수도권 버스 운행이 전반적으로 중단될 우려가 크다. 이에 시내 초, 중, 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등에 파업기간 중 등교 및 출근 1시간 조정도 요청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서울시는 불법적인 조업방해 행위에 대해 엄정 대처하는 한편 시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비상수송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며 “다만 전면 파업 시 출퇴근 시간에 극심한 혼란이 예상되는 만큼 시민 여러분께서도 재택근무 등을적극적으로 활용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파업 예고 시한이 남아있는 만큼, 노사는 시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원만히 임금 협상이 마무리 될 수 있도록 이해와 양보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GI서울보증보험 사흘째 먹통에 실수요자들 '발동동'…은행도 "업무마비"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2조6천억원' 땅 지분 꼬였다…압구정 3구역 재건축 위기
  • 美, AI 칩 中 수출 재승인… 삼성 '반도체 봄' 다시 오나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6년, 피해자 절반은 여전히 참는 중 [데이터클립]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민생회복 소비쿠폰, 온라인·배달앱 결제 제한…소비자 불만에 해법은?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835,000
    • +1.5%
    • 이더리움
    • 4,495,000
    • +7.9%
    • 비트코인 캐시
    • 682,000
    • +1.64%
    • 리플
    • 4,080
    • +2.33%
    • 솔라나
    • 235,700
    • +6.99%
    • 에이다
    • 1,041
    • +4.1%
    • 트론
    • 414
    • +0.98%
    • 스텔라루멘
    • 635
    • +2.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10
    • +10.89%
    • 체인링크
    • 22,910
    • +6.36%
    • 샌드박스
    • 436
    • +3.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