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동물복지 선진국' 공약 발표…“동물복지법 제정”

입력 2025-05-21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반려동물 진료비 부담 완화 표준수가제 도입
동물학대 가해자에 사육금지제도 추진키로
동물복지기본법 제정 및 진흥원 설립 약속
농장·실험·봉사·레저동물 복지 개선방안 제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9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인근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holjjak@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9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인근에서 열린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holjjak@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1일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문화를 조성해 다 함께 행복한 동물복지 선진국을 만들겠다”며 '동물복지 선진국' 조성을 위한 종합 공약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본인의 페이스북을 통해 "반려동물은 이제 가족이자 삶의 동반자로 인식되고 있지만, 여전히 동물 학대와 유기가 지속되고 반려인과 비반려인 사이의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며"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동물보호를 넘어 복지 중심 체계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동물을 단순한 보호 대상이 아닌, 생애주기 관점에서 건강과 영양, 안전과 습성을 존중받는 존재로 인식하는 동물복지로 나아가야 한다"며 "분산된 동물 관련 업무를 통합하기 위해 '동물복지기본법'을 제정하고, '동물복지진흥원'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반려동물 양육 부담 경감을 위한 대책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반려동물, 양육비 부담을 덜겠다. 동물 병원비가 월평균 양육비의 40%에 이른다”며 “경제적 부담이 큰 만큼, 표준수가제를 도입하고, 표준 진료 절차를 마련해 진료비 부담을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반려동물 등록률 제고와 인프라 개선으로 보험제도를 활성화하겠다"며 "진료비에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면제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학대와 유기 방지 대책으로 "학대와 유기를 막고 건강한 반려동물 문화를 확산하겠다"며 "동물 학대 가해자에게 일정 기간 동물 사육을 금지하는 '동물 사육금지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반려동물 양육 전 기본소양 교육제도를 점진적으로 도입하여 보호자의 책임 의식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농장동물 등 복지 개선과 관련해 이 후보는 "농장동물과 동물원·실험·봉사·레저동물의 복지를 개선하겠다"며 "동물복지 인증 농장 지원을 확대하겠다. 축종별 농장동물 복지 가이드라인을 실천하는 농가에는 직불금 지급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동물대체시험활성화법'을 제정해 실험동물의 희생을 줄이겠다"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119 구조견 등 봉사동물의 복지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은퇴 후 입양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후보는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행복한 사회, 생명을 존중하고 약자를 배려하는 나라, 사람과 동물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가 콕 짚은 “제조업 재건”…韓 대표기업, 美 투자 시계 다시 돈다
  • 단독 김동선 품에 안긴 아워홈, 한화그룹 본사 식당 등 계열사 잇단 수주 눈총
  • 카드사들,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력 대응⋯서버 증설·마케팅 검토
  • 덕질도 계산이 필요한 시대…'버블 구독료 인상'의 진짜 의미?! [엔터로그]
  • 국산화의 결실…‘현궁’으로 완성된 한국형 대전차 방어체계 [리썰웨폰]
  • 유노윤호의 첫 번째 레슨…항마력 버티면 얻는 주식 투자 교본 [요즘, 이거]
  • 韓 기업 3곳 중 1곳만 ‘AI 기본법’ 이해한다는데…시행령에 쏠리는 눈
  • "그래도 2분기가 바닥"…삼성전자, 반도체 부진에 '어닝쇼크'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935,000
    • -0.45%
    • 이더리움
    • 3,479,000
    • -1.16%
    • 비트코인 캐시
    • 679,500
    • +0.74%
    • 리플
    • 3,116
    • +0.65%
    • 솔라나
    • 204,700
    • -1.59%
    • 에이다
    • 789
    • -1.74%
    • 트론
    • 393
    • +0.77%
    • 스텔라루멘
    • 343
    • +1.1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630
    • -0.12%
    • 체인링크
    • 18,140
    • -2.42%
    • 샌드박스
    • 330
    • -1.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