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과 기술진단전문기관의 등록기준을 보다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정비하는 내용의 하수도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이 20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돼 27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그간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체가 기술진단전문기관으로 등록하거나 기술진단전문기관이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체로 등록할 경우에는 각 업무의 등록 기준 및 요건에 필요한 장비를 각각 갖춰야 했다.
이번 개정안은 두 업종을 모두 등록하는 경우 공통된 장비 15종을 중복해 갖추지 않을 수 있도록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의 등록기준과 기술진단전문기관의 등록요건을 합리적으로 개선했다.
이에 해당하는 공통 장비는 이동식 유량계,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등 실험분석 장비 15종이다.
AI 추천 뉴스
또한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과 기술진단전문기관 등록기준 중 기술인력 자격 명칭도 '국가기술자격법' 시행규칙에 따라 현행화했다.
관련업 등록 시 발생할 수 있는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기계정비 산업기사'는 '설비보전 산업기사'로, '생물공학 기사'는 '바이오 화학제품제조 기사' 등으로 자격 명칭을 변경했다.
조희송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앞으로도 공공하수도 관리 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