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이재명 지지 선언…"포용의 리더십 봤다"

입력 2025-05-19 17: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9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유세에서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와 함께 손을 잡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19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유세에서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와 함께 손을 잡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했다.

허 전 대표는 19일 서울 영등포구에서 진행된 이 후보 유세 현장에 나타나 이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유세차량에 오른 그는 "저는 오늘 이 자리에 이 후보를 지지하고자 나왔다"고 말했다.

허 전 대표는 "누구보다 오랫동안 보수를 지지했던 의원이고, 개혁 보수를 희망하며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과거) 제3당을 창당하기도 했다"며 "그러나 그 길의 끝은 너무나 실망스러웠고 좌절이었다"고 했다.

이어 "저는 오늘 이 자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나왔다"며 "제가 이 자리에 나올 수 있었던 이유는 국민 여러분께서 내란 종식에 대한 목소리를 끝까지 내주셨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이 후보가 일관된 리더십을 보여줬다"며 "이 후보께서 당 대표이던 때 제가 반대쪽에 있는 대표임에도 1년 동안 같은 태도와 배려, 실행력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그것이 진짜 포용의 리더십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허 전 대표는 "이 후보께 부탁드린다"며 "진짜 정치, 진짜 개혁, 진짜 국민만 바라보는 대한민국을 꼭 보여달라"고 부탁했다.

이 후보는 "이 위기의 대한민국을 함께 손잡고 나아갈 우리의 새 동지 허은아를 환영한다"며 "자신감 가지면 좋겠다.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정치도 한번 해보자"고 화답했다.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와 국민의힘을 탈당해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김상욱 의원이 19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유세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허은아 전 개혁신당 대표와 국민의힘을 탈당해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김상욱 의원이 19일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유세에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845,000
    • +0.4%
    • 이더리움
    • 3,595,000
    • +2.25%
    • 비트코인 캐시
    • 622,000
    • -0.88%
    • 리플
    • 3,108
    • +3.46%
    • 솔라나
    • 213,900
    • +4.85%
    • 에이다
    • 888
    • +1.72%
    • 트론
    • 389
    • +2.91%
    • 스텔라루멘
    • 364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180
    • -1.24%
    • 체인링크
    • 18,810
    • +3.07%
    • 샌드박스
    • 373
    • +2.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