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이 20년 연장 법안 처리했지만 정부 결정 불확실
AI 수요 급증에 기업들 경제적 우려 커져

16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대만은 17일 마지막 남은 원자로인 마안산 제3 원전 2호기를 폐쇄할 예정이다.
13일 대만 의회가 야당 주도로 원자력 발전법을 개정해 원전 운영 기한을 최대 20년 연장하기로 했지만, 정부가 야당의 계획을 추진할지는 불확실하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설령 개정안대로 정책을 바꿔도 17일 폐쇄되는 원전을 안전하게 재가동하는데 약 3년 6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만은 직전 총통인 차이잉원 때부터 탈원전 정책을 펼쳤다. 후임인 라이칭더도 정책을 계승해 최종적으로 대만 내 모든 원전을 멈춰 세웠다.
탈원전이 추진된 첫 번째 이유는 영구적인 폐기물 저장시설이 부족하다는 거였다. 1980년대 초부터 란위섬에 핵폐기물을 저장하는 게 일반적인 관행이었지만, 뒤늦게 사태를 파악한 주민들이 대대적인 시위를 벌였고 시위가 대만 전역으로 퍼지면서 폐기물은 원전 부지에 그대로 보관되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는 탈원전 여론에 불을 붙였다. 대만은 지리적 특성상 단층이 많고 지진도 자주 발생해 사고 위험이 크다는 목소리가 여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야당을 중심으로 원전을 다시 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크다. 블룸버그 NEF에 따르면 원전이 모두 멈추면 대만은 2030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에 연간 약 20억 달러(약 2조7854억 원)를 더 지출해야 할 수도 있다. 이미 TSMC 같은 주요 기업들은 국내에서 청구된 전기 요금이 해외 공장에서 발생하는 요금을 추월한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중국과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마지막 원전이 폐쇄됨으로써 에너지 소모가 많은 반도체 산업과 안보를 위협하는 탈원전 전략이 정점에 도달했다”며 “이러한 조치는 AI 인프라 구축과 기후변화 배출 목표 달성을 위해 경쟁하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원전 수요가 늘어나는 것과 상반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