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매판매 증가율 0.1%...3월 1.7%
4월 PPI 0.5%↓, 5년래 최저 낙폭

뉴욕증시는 미‧중 무역 합의에 따라 시장 심리가 신중한 낙관주의로 전환하면서 전반적으로 강세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15일(현지시간)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271.69포인트(0.65%) 오른 4만2322.75에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는 전장 대비 24.35포인트(0.41%) 상승한 5916.93에,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4.49포인트(0.18%) 소폭 내린 1만9112.32에 거래를 끝냈다.
미국과 중국의 일부 관세 유예 합의로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상승에 일단 제동이 걸리면서 주식시장에도 단기적 전망에 대한 신뢰가 강화됐다고 CNBC방송은 분석했다. 지난 한 주간 나스닥 종합지수는 6.6%, S&P500 지수는 4.5% 뛰었다. 다우지수도 2.6% 급등했다.
조 쿠식 칼라모스인베스트먼트 수석 부사장은 CNBC에 “경기 침체 우려가 잦아들고 증시가 탄탄한 기반을 다지면서 시장은 신중한 낙관론으로 전환됐다”면서 “다만 투자자들은 여러 거시경제 및 미시경제적 위험 요인들을 헤쳐 나가야 한다”고 평가했다.
관련 뉴스
매그니피세트7(M7)도 이날 혼조세를 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0.23% 상승했지만 엔비디아는 0.38% 하락했다. 테슬라도 1.40% 내렸고 메타는 신규 인공지능(AI) 출시 연기 소식에 2.35% 급락했다. 아마존과 알파벳 주가도 각각 2.42%, 0.85% 밀렸고 애플은 0.41% 내렸다.
이날 발표된 4월 소매판매 증가폭이 전월 증가율에 비해 크게 꺾이면서 소비 둔화에 대한 불안감을 자극하긴 했지만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고 CNBC는 해석했다.
미 상무부에 따르면 4월 미국의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 전월 대비 0.1% 증가한 7241억 달러(약 1013조7400억 원)로 집계됐다. 3월 증가율은 기존 1.5%에서 1.7%로 상향 조정됐다.
또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가 5년래 최저수준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4월 PPI는 계절 조정 기준 전달 대비 0.5% 떨어져 시장 전망치를 크게 하회했다. 2020년 4월 이후 최대 낙폭이다.
이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도 관심이 쏠렸지만 기준금리 정책 방향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다만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그로 인한 여파를 가리키는 듯 “우리는 더 빈번하고 잠재적으로 더 지속되는 공급충격의 시기에 접어들고 있는지 모른다. 경제와 중앙은행 모두에 어려운 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