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5일 윤석열 전 대통령을 향해 "정중하게 탈당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의 당무 개입 등을 막기 위해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하고,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단을 받은 당원에 대해 당적을 3년가량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이날 첫 기자간담회에서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대통령을 찾아 뵙고 말씀드리겠다. 당과 대선 승리를 위해 결단해줄 것을 요청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합리적인 판단을 할 것"이라며 "당은 대선에서 이기기 위해 강력한 의지가 있다. 국민께 성찰하는 보수, 오만한 진보의 싸움을 보여드리기 위해 대통령께서 먼저 결단해주셔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통령이 이 안을 수용하는 것과 관계없이 당은 또다른 절차를 고민하겠다"며 "헌법 정신을 존중한다는 의미를 담아,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아 당헌·당규의 제도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령 대법에서 유죄 판단이나 유죄취지 파기환송을 받은 당원이나 헌재 위헌 파단 받은 당원은 당적을 3년 정도 제한하는 방안을 당헌당규에 제도화하는 것을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관련 뉴스
대통령의 당무 개입과 당내 친위·반대 세력이 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당헌당규 개정 방안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는 '당정 협력'과 '당-대통령 분리', '사당화 금지' 3대 원칙이다.
김 위원장은 "'당-대통령 분리' 원칙은 대통령의 당내 선거, 공천, 당직 등 주요 당무에 대한 개입을 금지한다"라고 설명했다. '사당화 금지' 원칙에 대해선 "당내에 대통령 친위 세력 또는 반대 세력 구축을 용납하지 않으며 당내 민주주의 실현과 의원의 자율성을 보장한다"고 전했다. 또 '당정 협력' 원칙에 따라 "당과 대통령 간에 수직적·수평적 관계를 넘어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한 긴밀한 협조 관계를 구축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준비된 안을 갖고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금명간 의결할 수 있다"며 "제한적이지 않다고 생각한다. 당 쇄신안 의지를 갖고 계속해서 당의 개혁방안을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개정안이 김 후보와 논의됐는지에 대해선 "상향식 민주주의에 따라 당원 판단을 후보가 수용하는 구조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또 "국민의힘이 쇄신 방안과 정치개혁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보였다고 생각한다"며 "이게 선행돼야 한동훈 전 당대표나 홍준표 전 대구시장에게 연락을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당이 입장을 발표했기 때문에 오늘 중이라도 두 분을 포함한 당내 많은 인사에게 더 적극 적으로 인사드리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