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본부장, 美 USTR 대표 만난다…"순차적 협상 전략 갖고 있어"

입력 2025-05-15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USTR 대표와 양자협의 예정…한미 통상관세 협상, 장관급 만남 이후 본격화 시사
한중은 '공급망 안정' 공감대

▲안덕근(오른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안 장관과 그리 대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부과하고 있거나 부과 예정인 국별 관세(기본+상호 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예외·감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오른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안 장관과 그리 대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부과하고 있거나 부과 예정인 국별 관세(기본+상호 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예외·감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미국과의 협상에 대해 "우리는 나름대로 순차적인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 의장국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 중인 정 본부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양자 협의가 예정돼 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본부장은 "그리어 대표와는 오늘 오후 양자 미팅이 예정돼 있고, 내일 오후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 도착하면 함께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어제 통상정책국장이 미국 측과 업무 협의를 했고, 오늘 만남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 축적이 가능할 것”이라며 “장관과 저의 역할을 구분해 순차적이고 질서 있는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3월 그리어 대표와의 만남을 언급하며 “그때도 제가 APEC 회의 참석 여부를 조속히 결정해달라고 요청했지만, 본인 일정이 불확실하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며 “그리어가 온다는 얘기에 장관급으로 격상된 국가도 많을 정도로 이번 회의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어 “우리가 주최국인 만큼 회의 운영의 형평성과 효율성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미 통상관세 협상과 관련한 질문에는 "내일 안 장관과 그리어 대표의 만남 이후 구체적인 소식이 있을 것”이라며 “지금은 언급을 자제하겠다”고 말을 아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2025 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리 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대표 겸 부부장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5일 제주 서귀포시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2025 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리 청강 중국 상무부 국제무역협상대표 겸 부부장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산업통상자원부)

한편, 이날 오전 열린 한중 통상장관 회의에 대해선 “중국 측은 글로벌 공급망 유지에 있어 자국의 역할을 강조했고, 미중 간 관세 유예기간 동안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길 기대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APEC 정상회의가 중국에서 열리는 만큼 올해 회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돼야 한다는 점에서 우리 역할에 대한 기대도 내비쳤다”고 덧붙였다.

최근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한국이 선거 전 매우 좋은 제안을 했다'고 언급한 발언과 관련해선 “그 발언은 기획재정부에서 설명한 바 있다”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왜곡된 표현이 있었고, 제 인식과는 다르게 전달된 것”이라고 밝혔다. 환율 문제에 대해서도 “기재부 담당 영역이며, 저는 언급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이 영국과 철강 관세 조정 협상에서 중국 견제를 의식한 조건을 부과한 데 따라, 한국과의 협상에서 유사한 요구가 제기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오늘 중국과의 회의에서 경제 안보 관련 논의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미국은 경제 안보를 주요 협의 의제로 삼고 있지만, 중국과의 오늘 논의에서는 그 주제가 전혀 다뤄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인터뷰] 박영선 전 장관 “새 정부, 기업 조력자로 AI 혁신 판 깔아줘야”
  • 비트코인, 휴전 위반·금리 인하 일축에도 상승…10만6000달러 터치 [Bit코인]
  • 질병의 단서 바이오마커의 진화…AI·웨어러블로 뜨는 디지털 바이오마커
  • "써클은 광풍 예감, 국내는 출발선"…디지털 자산 좇는 기민한 투자자들
  • '6.25전쟁 75주년' 북한이 쳐들어왔으니 북침?…아직도 헷갈린다면
  • '나솔사계' 다시 보기도 중단…남성 출연자 '성폭행 혐의'에 빨간불
  • 약물 운전 혐의 이경규 입건…“공황장애 약 복용, 부주의했다”
  • LS전선·LS마린솔루션, MS·아마존 주도 ‘한일 해저통신망 구축’ 사업 참여
  • 오늘의 상승종목

  • 06.25 11: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10,000
    • +0.08%
    • 이더리움
    • 3,372,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657,000
    • +2.98%
    • 리플
    • 3,003
    • +0.91%
    • 솔라나
    • 200,400
    • +1.01%
    • 에이다
    • 807
    • +0.5%
    • 트론
    • 374
    • -1.32%
    • 스텔라루멘
    • 340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260
    • +1.19%
    • 체인링크
    • 18,420
    • +2.79%
    • 샌드박스
    • 350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