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USTR 대표 내주 방한…한미 고위급 통상 협의 분수령되나

입력 2025-05-11 10: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그리어 대표, 제주 APEC 통상장관회의 참석차 방한

▲안덕근(오른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안 장관과 그리 대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부과하고 있거나 부과 예정인 국별 관세(기본+상호 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예외·감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오른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안 장관과 그리 대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부과하고 있거나 부과 예정인 국별 관세(기본+상호 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예외·감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미국의 무역·통상정책을 총괄하는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다음 주 제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차 한국을 찾는다. 그리어 대표의 방한 기간 한미 고위급 통상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커 한미 통상 협의가 진전될지 이목이 쏠린다.

11일 통상 당국에 따르면 그리어 대표는 이달 15∼16일 제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할 예정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2+2' 고위급 통상 협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그리어 대표의 이달 방한 계획을 소개한 바 있다.

제주 통상장관회의는 올해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통상 관련 의제를 조율하고 원활한 무역을 위한 공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그리어 대표는 회의 기간 제주에 머무르며 APEC 관련 일정을 소화하고 주요국 통상장관들과도 양자 회담을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어 대표의 방한 기간 한미 통상 고위급 접촉이 이뤄질지 이목이 쏠린다. 정부는 한미 간 '2+2 협의' 직후 브리핑에서 이달 그리어 대표가 방한할 예정이라며 이를 계기로 고위급 통상 중간 점검이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지난달 26일 방미 귀국길 인천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USTR과 중간 점검 회의는 제가 갈 가능성도 꽤 크다"고 밝혔다. APEC 통상장관회의의 한국 측 대표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다. 그러나 그리어 대표 방한에 맞춰 안 장관이 직접 제주에 가 고위급 통상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현재 한미 통상 당국은 상호기간 유예기간이 끝나는 7월 8일까지 '줄라이 패키지'(July Package)를 마련한다는 목표로 협의를 진행 중이다. 다만 미국 측이 18개 주요 국가와 상호관세 관련 협상을 동시에 진행하고 있어 한미 협의가 속도를 내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선 그리어 대표의 방한을 계기로 열리는 한미 고위급 접촉이 미국 측의 구체적인 요구를 한국에 제시하고 추후 협상 일정과 방식을 조율하는 등 통상 협의 방향을 결정하는 분수령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특허청과 UDC 기술 공유”…LG디스플레이, 차세대 기술 확보 사활
  • “러브버그는 익충이기라도 하지…” 해충 미국흰불나방 출몰 경보
  • "하루의 낙인데"…유튜브 AI 제동, '김햄찌' 채널도 막힐까? [솔드아웃]
  • “사라진 장마, 계속되는 폭염…한국 날씨에 무슨 일이?”
  • 신약개발 비용·시간 상당한데…‘오가노이드’ 기술 확보 각축전
  •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경영계 "민생경제 어려운 현실, 고심 끝 합의"
  • 7월 17일 제헌절, 공휴일에서 빠진 이유
  • ‘전세난’에…“차라리 청약” 눈돌리는 실수요자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694,000
    • +5.68%
    • 이더리움
    • 4,049,000
    • +7.12%
    • 비트코인 캐시
    • 709,000
    • +1.14%
    • 리플
    • 3,552
    • +6.35%
    • 솔라나
    • 222,500
    • +3.83%
    • 에이다
    • 980
    • +14.35%
    • 트론
    • 402
    • +2.03%
    • 스텔라루멘
    • 427
    • +7.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6,140
    • +4.72%
    • 체인링크
    • 20,980
    • +7.31%
    • 샌드박스
    • 398
    • +7.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