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아산병원이 전 세계 의료기관 가운데 최초로 간이식 수술 9000례를 달성했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은 지난달 30일 알코올성 간경화 환자 윤모(43·여) 씨에게 조카 정(20·남) 씨의 간 일부를 떼어내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쳐, 단일 의료기관으로 세계 처음 간이식 9000례를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1992년 8월 처음으로 뇌사자 간이식 수술을 시행한 이후 32년 8개월 만이며, 2022년 9월 간이식 8000례 기록을 세운 이후로 2년 반 만에 이룬 성과다. 서울아산병원은 지금까지 생체 간이식 7502례, 뇌사자 간이식 1498례를 실시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이뤄지는 간이식의 85%는 생체 간이식이다. 생체 간이식은 뇌사자 간이식보다 수술이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크다. 서울아산병원의 전체 간이식 생존율은 98%(1년), 90%(3년), 89%(10년) 등이다. 한국보다 간이식 역사가 깊은 미국 피츠버그 메디컬센터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 메디컬센터의 간이식 1년 생존율이 평균 92%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우수한 수치다.
관련 뉴스
9000번째 간이식 역시 생체 간이식으로 진행됐는데, 이번 수술은 기증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달라 거부반응이 발생할 위험마저 컸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면역학적 고위험군인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시행한 경험을 토대로 이식 전 환자에게 항체 형성 억제제를 투여하고, 혈장에 존재하는 질병 유발 항체를 제거해 다시 환자의 혈액으로 주입하는 ‘혈장교환술’을 시행했다.
특히 서울아산병원의 9000번째와 8999번째 간이식은 동시에 이뤄졌다. 두 수술 모두 생체 간이식으로, 각기 기증자로부터 간을 절제하고 절제된 간을 수혜자에게 이식하기 위해 총 4개의 수술방이 열렸다. 한날한시 하나의 의료기관에서 복수의 생체 간이식을 진행하려면 각 의료진의 숙련도가 높고, 병원의 수술 시스템이 정교하게 구축돼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새로운 수술법을 세계 간이식계에 제시해왔다.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가 1998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변형우엽 간이식은 전 세계 간이식센터에서 표준 수술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수술법은 이식되는 우엽 간에 새로운 중간정맥을 만들어 우엽 간 전(全) 구역의 피가 중간정맥을 통해 잘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 해 30례에 그치던 생체 간이식이 100례를 넘겼고 수술 성공률도 70%에서 95%까지 높아졌다.
이승규 석좌교수가 2000년 세계 최초로 고안한 2대1 생체 간이식은 간 기증자와 수혜자의 범위를 넓힌 데 의의가 크다. 기증자 2명으로부터 간 일부를 받아 수혜자에게 이식하는 방식으로, 기증자 간의 좌우엽 비율이 기준에 맞지 않거나, 지방간이 심하거나, 기증자가 고령이라도 간이식이 가능하다. 그동안 650명이 넘는 환자들이 이 수술법으로 새 삶을 얻었다.
ABO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 또한 서울아산병원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1126례를 시행했으며, 혈액형 적합 간이식과 대등한 성적을 보인다.
서울아산병원은 간 기증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복강경과 최소 절개술을 이용한 기증자 간 절제술은 기증자들의 회복 기간을 단축하고, 흉터를 최소화한다. 생체 간이식 기증자 중 사망하거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는 없다.
한편 서울아산병원은 2011년부터 몽골과 베트남에 간이식을 전수하고 있다. 그 결과 몽골 국립 제1병원과 베트남 쩌라이병원, 호치민대학병원에서 간이식을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됐다. 특히 몽골 국립 제1병원은 올해 2월 누적 생체 간이식 300례를 달성하며 완전한 간이식 자립을 이뤄냈다.
이 밖에도 서울아산병원은 △2001년 터키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04년 프랑스 최초(유럽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 △2006년 터키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 △2016년 중동 카타르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19년 카자흐스탄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을 성공시켰다.
간이식 전수는 미국에도 10년 넘게 이어질 전망이다. 1955년 당시 한국의 의료 재건을 위해 우리나라 의사들에게 의술을 전파했던 미국 미네소타대학병원이 2015년 서울아산병원의 생체 간이식을 배우고 싶다며 협력을 요청해왔다. 이후 꾸준히 기술 전수가 이뤄졌으며, 올해 4월 해당 협약이 재연장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