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고품질 화장지·포장박스 등 다양한 종이류 제품으로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팩을 주요 메신저 플랫폼을 활용해 보다 쉽고 효율적인 비대면 회수체계를 마련한다.
환경부는 15일 대전 대덕구 한솔제지 대전공장에서 카카오, CJ대한통운, 매일유업, 한솔제지와 함께 이러한 내용의 '온라인 플랫폼 활용 종이팩 회수 시범사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종이팩은 우유, 주스 등 음료를 담는 재활용 가능 포장재지만 분리배출이 번거로운 탓에 회수·재활용률이 2019년 19.9%에서 2023년 13%로 낮아지는 흐름이다. 국민이 일상에서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수거모델을 마련해 회수·재활용률을 높이겠다는 것이 정부 방침이다.
이번 시범사업은 19일부터 카카오 메이커스를 통해 운영된다.
카카오가 자사 플랫폼인 카카오 메이커스로 종이팩 수거 신청을 접수하고 CJ대한통운이 택배를 활용해 수거 신청된 종이팩을 회수하는 방식이다. 매일유업은 회수 참여자에게 자사 제품 구매 시 할인쿠폰을 제공해 참여 유인을 제공하고 한솔제지는 회수 종이팩을 고품질 종이로 재활용해 종이팩 회수 선순환 체계 구축을 지원한다.
관련 뉴스
환경부는 이번 시범사업 외 커피 가맹점(프랜차이즈) 등 종이팩 다량 배출처에 대한 회수체계를 마련하는 등 종이팩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종이팩은 고품질 종이로 재활용이 가능함에도 회수율이 점차 낮아져 왔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종이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회수·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