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찾는 IMF “지정학적 리스크, 금융자산 가격 영향 미칠 수도…외환보유액 완충 유지해야”

입력 2025-05-14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IMF 내 통화·자본시장부 소속 이승덕 이코노미스트 한은 방문 예정
4월 발간 ‘글로벌 금융 안정성 보고서’에 저자로 참여
‘지정학적 리스크가 자산시장과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설명

▲코스피 지수가 2480선에서 강보합세를 보인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00(0.20%)포인트 상승한 2488.42를 코스닥은 2.32(0.32%)포인트 하락한 715.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달러화 약세 영향으로 1420원선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418.1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코스피 지수가 2480선에서 강보합세를 보인 2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코스닥,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00(0.20%)포인트 상승한 2488.42를 코스닥은 2.32(0.32%)포인트 하락한 715.45를 나타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달러화 약세 영향으로 1420원선을 하회하며 종가 기준 1418.10원을 나타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국제통화기금(IMF)의 이승덕 매크로이코노미스트가 한국은행을 방문하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자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보고서를 설명할 예정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승덕 매크로이코노미스트는 13일 국제금융센터를 방문한 데 이어 16일에는 한국은행을 찾아 ‘글로벌 금융 안정성 보고서(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 이하 GFSR)’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에 정기적으로 GFSR를 발간하고 있다. 이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보고서의 저자 중 한 명으로 작성에 참여했다. 4월에 나온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1장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에 대응한 회복력 제고 △2장 지정학적 리스크가 자산시장과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으로 각각 구성됐다. 이 가운데 이 이코노미스트는 2장 연구에 참여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지정학적 리스크의 증가가 금융자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두 가지 짚었다.

보고서는 “지정학적 요인에 따른 무역 및 금융 거래 제한의 위협이나 실제 발생은 공급망을 교란시키고 자본 흐름을 역전시키며, 제재 대상 국가의 수요를 위축시키는 방식으로 경제적 경로를 통해 자산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정학적 리스크가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를 높이는 경우(지출 증가, 차입 수요 확대, 생산 감소 등) 국채 금리 스프레드나 신용부도스와프(CDS) 스프레드가 상승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시장 심리 채널’을 꼽았다. 보고서는 “실제로 분쟁이 발생하거나 정책이 변경되지 않더라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 거시경제 및 금융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투자자 신뢰 저하와 위험 회피 성향 강화를 통해 자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자산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 마진콜이나 담보 추가 요구가 발생하고, 투자펀드에 환매 압력이 가해져 자산의 급매도(fire sale)와 금융 시스템 내 연쇄적인 전염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결국 이는 거시경제와 금융 시스템 사이의 부정적 상호작용 위험(피드백 루프)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정책 제언으로 금융기관의 유동성 완충 장치 보유, 외환보유액 완중 장치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정책 제언으로 “정책당국은 자국에 특화된 지정학적 리스크를 고려하여 금융기관에 대한 감독을 수행해야 한다”며 “금융기관은 지정학적 리스크가 현실화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극단적이지만 개연성 있는 손실에 대비해, 적절한 자본과 유동성 완충 장치를 보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정학적 리스크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충분한 거시경제 정책 여력과 국제 외환보유액 완충장치를 유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이스라엘, 이란 공습 소식에 국제유가 7% 급등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내수부터 살리자” 車 업계, 할인러시…개소세 인하 연장 목소리도
  • 희토류 물꼬 튼 G2…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도 풀릴까
  • 실용주의 정책·한중 해빙 무드...K뷰티, 中 시장 재공략 기대감 고조[이재명 정부 유통산업 전망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0:4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444,000
    • -3.96%
    • 이더리움
    • 3,454,000
    • -9.25%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5.53%
    • 리플
    • 2,910
    • -6.31%
    • 솔라나
    • 197,300
    • -10.48%
    • 에이다
    • 865
    • -9.8%
    • 트론
    • 372
    • -2.87%
    • 스텔라루멘
    • 354
    • -7.3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00
    • -8.81%
    • 체인링크
    • 17,860
    • -12.06%
    • 샌드박스
    • 352
    • -10.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