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입력 2025-05-13 1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리플 홈페이지 캡처)
(출처=리플 홈페이지 캡처)

리플이 스테이블코인 유에스디코인(USDC)의 발행사 서클을 인수하려 한다는 움직임이 일면서 조용했던 시장이 요동치기 시작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리플이 약 50억 달러 내외의 규모로 서클의 인수를 추진했으나, 금액 조율 과정 중에 무산됐다고 전해졌는데요. 여기에 새롭게 200억 달러 인수설이 확산하면서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다만 리플 측은 이에 대해 공식적인 견해를 밝히진 않았는데요. 일부 전문가들은 CEO 브래드 갈링하우스가 전략적 결단을 내릴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오픈AI 달리)
(오픈AI 달리)

새 먹거리 찾는 리플⋯인수의 배경은?
그렇다면 리플은 왜 서클의 인수를 추진하는 걸까요?

리플은 올해 자신들의 스테이블코인 'RLUSD'를 출시했는데요. 스테이블코인은 특정 국가의 화폐 가치에 가격이 고정된 가상자산입니다.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은 준비금으로 달러 현금과 미국 국채 등을 보유하는 것을 뜻하는데요.

시장에서는 테더와 서클이 1, 2위를 다투고 있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실제 기축통화로 간주하는 탓에 발행량만큼의 담보가 필요한데요.

통상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은 담보로 미 국채·금·달러 등을 담보로 보유하고, 이를 통해 고정적인 수익을 내곤 합니다.

따라서 스테이블코인이 유통되면 유통될수록 회사가 운영할 자금의 규모도 커지는 건데요. 무엇보다 전체 규모의 자산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죠.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종합 가상자산 플랫폼 꿈꾸는 리플
다시 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리플이 RLUSD를 출시한 것은 '종합 플랫폼'으로 거듭나려는 야망이 결부된 것인데요.

리플은 송금 혁신을 꿈꾸는 가상자산입니다. 국내에서는 해외 거래소로 투자할 때 애용되곤 하는 리플은, 송금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이로 인해 리플은 국외에서 송금 기능으로 애용됩니다. 미국의 경우 동부와 서부의 시차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고, 개발도상국에서는 은행 인프라를 대체할 수 있다는 순기능이 주목받고 있죠.

하지만 송금 이후에는 리플을 스테이블코인으로 바꿔야 하는데요. 이는 리플의 기능이 송금에 그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 중의 하나였죠.

이에 리플은 스테이블코인 시장까지 진출을 선언한 것인데요.

리플의 인지도에 따른 대외 인기와 더불어 송금 후 리플의 플랫폼에서 리플과 스테이블코인을 환전하게 된다면 이 수수료까지 모두 회사가 가져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결국, 리플이 서클을 인수한다면 이는 생태계 확장과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영향력 확대 측면에서 전략적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

(오픈AI 달리)
(오픈AI 달리)

트럼프 집권에⋯현물 ETF 상장 기대감

리플은 현재 사상 유래없는 호재를 맞이했는데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전이 사실상 종결된 가운데 가상자산의 가격도 2018년 전성기 시절로 다시 돌아왔죠. 무엇보다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쳐지면서 기대감이 팽배한대요.

국내 정치 상황도 가상자산에 우호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하면서 각종 가상자산 법안이 발의되는 상황이죠.

현재 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른바 '지니어스법'의 통과 여부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데요. 스테이블코인이 제도권으로 편입될 경우 사용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은 분명한 상황입니다.

여기에 리플이 서클을 인수하고 현물 ETF가 연내 승인된다면 이번 인수 시도는 그야말로 신의 한 수로 평가받을 수 있죠.

(출처=코인베이스 홈페이지 캡처)
(출처=코인베이스 홈페이지 캡처)

변수는 코인베이스…패권 다툼 시작하나
다만 서클의 USDC는 시가총액이 600억 달러에 달하는 명실상부 가상자산 시장의 대기업(?)인데요. 심지어 서클은 올해 기업공개(IPO)까지 추진하고 있죠.

반면 리플의 RLUSD는 고작 3억 달러를 넘어선 스타트업인데요. 업계에서는 이번 인수가 쉽지 않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이 배경에는 미국의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있는데요. 앞서 코인베이스는 서클의 설립에도 관여했습니다. 여기에 2023년에는 지분 일부를 직접 인수했죠.

코인베이스는 현재 거래소 내에서 USDC를 주로 사용하게끔 돼 있는데요. 그들로서는 굳이 이 사업을 넘길 이유가 없는 상황이죠.

리플 전문 변호사 존 디튼은 이번 인수 협상과 관련해 리플과 코인베이스 간 경쟁 구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코인베이스는 이미 서클에 소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향후 입찰 경쟁이 본격화될 경우 인수가격 상승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는데요.

과연 리플이 서클을 인수하고 과연 거대 공룡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요? 리플의 지갑 이동에 수많은 시장 전문가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입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주택 공급 확대 초점…"용적률·인허가 속도 높일듯" [이재명 정부 부동산정책 청사진은①]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⑧]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뉴욕증시, 이스라엘-이란 분쟁 격화 속 미국 강경 노선에 하락…나스닥 0.91%↓
  • 李대통령, 유엔 사무총장과 약식회동…"국제평화 지원·역할 해나갈 것"
  • 통통한 면발에 ‘완도 다시마’로 시원한 국물...‘우동 본고장’ 日서도 인기[K-라면 신의 한수⑧]
  • [날씨] 전국 맑고 햇볕 '쨍쨍'…'낮 최고 33도' 여름 날씨 진입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80,000
    • -1.39%
    • 이더리움
    • 3,491,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0.93%
    • 리플
    • 3,001
    • -3.38%
    • 솔라나
    • 205,200
    • -1.87%
    • 에이다
    • 847
    • -2.98%
    • 트론
    • 379
    • +0%
    • 스텔라루멘
    • 350
    • -3.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880
    • +2.33%
    • 체인링크
    • 17,990
    • -4.26%
    • 샌드박스
    • 358
    • -2.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