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 상장

입력 2025-05-13 12: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중국 테크 우량주에 집중 투자하는 ‘TIGER 차이나테크TOP10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한다고 13일 밝혔다.

TIGER 차이나테크TOP10 ETF는 홍콩 상장 기업뿐 아니라 중국 본토에 상장된 기업들도 투자 대상으로 한다. 특히 ‘중국판 매그니피센트(M)7’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항셍테크에는 없지만 글로벌 전기차 1위인 비야디(BYD)와 중국 반도체 산업 핵심 역할을 하는 캠브리콘, 홍콩 증시에 상장되지 않은 글로벌 1위 배터리 기업 CATL 등을 담고 있다.

기초지수는 ‘Mirae Asset China Tech Top 10 Index’로 중국과 홍콩,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기술주 10종목을 선별해 편입한다. 전기차(EV), 인공지능(AI), 의료기기, 전자 및 전기 장비·기기, 컴퓨터 하드웨어 및 통신, 반도체 등 분야 기업들로 구성됐다.

인터넷과 플랫폼 비중이 높은 항셍테크 상품와 달리 중국 테크 전반 대표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 이날 기준 편입 종목은 비야디, 텐센트, 알리바바, 메이투안, 샤오미, SMIC, 레노보과 중국 본토에 상장된 캠브리콘, CATL 등이다.

올해는 중국 중장기 로드맵인 14차 5개년 계획이 마무리되는 해이자, 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을 준비하는 해다. 중국 정부는 15차 계획에서 AI, 반도체, 클라우드, 산업용 소프트웨어 등 이른바 ‘신형 생산력’을 국가 성장동력의 핵심축으로 명시했다. 또 기존 ‘제조 강국’ 중심 전략에서 ‘기술 강국’ 전략으로 전환을 추진하며 중국 기술주 수혜가 예상된다.

정의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TIGER 차이나테크TOP10은 기존 중국 투자 ETF와 항셍테크의 단순 압축판이 아닌, 딥시크 열풍으로 재평가받고 있는 중국 테크 기업들만을 골라 집중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이라며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가는 차이나테크의 기술력과 중국 정부의 정책 드라이브 수혜가 더해지면서 최고의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차이나테크TOP10 출시를 기념해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상장 기념 이벤트를 진행한다. KB증권, SK증권, 유진투자증권에서 해당 ETF 일 거래·순매수 조건을 충족한 일부 고객에게 문화상품권을 증정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주말에도 물폭탄…당국 '비상모드'
  • “보증서 없이 600억 대출”…서울보증 전산 마비 사태로 드러난 '민낯'
  • 삼계탕 ‘2만원’ 시대...초복 '가성비 보양식' 경쟁 나선 유통가
  • 금산에서 삼계탕 잔치…울산서 바다 페스티벌도 열려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95,000
    • +0.79%
    • 이더리움
    • 4,896,000
    • +1.45%
    • 비트코인 캐시
    • 707,000
    • +1.29%
    • 리플
    • 4,697
    • +0.11%
    • 솔라나
    • 243,000
    • +0.83%
    • 에이다
    • 1,137
    • +2.06%
    • 트론
    • 438
    • -1.35%
    • 스텔라루멘
    • 634
    • -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420
    • +6.53%
    • 체인링크
    • 25,360
    • +5.01%
    • 샌드박스
    • 447
    • +1.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