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체코 고속철도·우크라 교통 재건 협력 방안 모색

한국의 정부와 국회로 구성된 대표단이 체코 신규 원전 사업 본계약 체결식에 참석하기 위해 체코 프라하를 찾는다. 이번 계약은 26조 원 규모의 체코 두코바니 5·6호기 신규원전 건설사업 수주를 확정 짓는 것으로 한국 원전 산업의 유럽 진출을 본격화하는 역사적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이번 방체 대표단은 체코 총리와 상원의장 등을 만나 원전을 비롯해 인프라와 첨단산업 등 포괄적 경제 협력 확대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한국 정부와 국회 대표단은 체코 신규 원전 사업 계약 체결을 위해 6일부터 7일까지 체코 프라하를 방문한다.
대표단은 경제부처 장차관급 인사와 다양한 정당 소속의 국회의원으로 구성됐다.
정부 측에서는 대통령 특사단으로 임명된 △안덕근 산업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강인선 외교부 2차관 △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이 참여한다. 국회에서는 △이철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국민의힘) △박성민 의원(국민의힘) △강승규 의원(국민의힘) △박상웅 의원(국민의힘) △허성무 의원(더불어민주당) △이주영 의원(개혁신당, 복지위)이 국회 특별방문단으로 동행한다.
관련 뉴스
대표단은 체코 총리 및 상원의장을 만나 양국 간 원전 산업 협력을 넘어 산업·에너지·건설·인프라·과학기술 등 전방위적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국토부는 지난해 9월 체코 교통부와 체결한 한-체 고속철도 협력 및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양해각서를 기반으로, 고속철도 사업과 전후 재건 분야 협력 확대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번 본계약은 한수원이 주사업자로, 두산에너빌리티·대우건설·현대건설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참여한 컨소시엄 형태로 체결됐다. 2029년 착공에 들어가 2036년 시운전 돌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계약이 체결되면 한수원은 현재 원전 4기를 운영 중인 체코 두코바니 원전 단지에 5·6호기를 새로 짓는다. 체코 정부는 두코바니 원전 2기 사업비로 4000억 코루나(26조2000억 원)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체코 정부가 테멜린 지역에 2기의 원전을 추가로 건설할 경우 한수원에 우선협상권을 부여하는 옵션도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테멜린 3·4호기 건설 계획이 확정되면 수주 규모는 52조 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기업의 원전 수출은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 만이다. 특히 이번 수주는 중동과 달리 상업용 원전 이용이 시작된 세계 원전 시장의 중심지인 유럽에서 수주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K-원전'의 위상을 확인했다는 평가다.
한국은 우수한 가격 경쟁력과 계획된 일정대로 원전을 완공하겠다는 '온 타임 위딘 버짓'(on time within budget) 구호를 앞세워 체코 측의 선택을 받는 데 성공했다.
원전 업계 관계자는 "이번 체코 원전 수주를 통해 한국이 국제 원전 시장에서 내세울 트랙레코드가 풍부해졌다"라며 "이는 향후 'K-원전'의 추가 수출 성공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체결식에는 한수원,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현대건설 등 핵심 원전 기업과 함께 자동차연구원, 로봇산업진흥원 등 산업 기술 기관도 동행해 차세대 기술 수출과 연계 협력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