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민주당, 사법부 위협·삼권분립 부정...위험·반헌법적”

입력 2025-05-03 13: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서울외신기자클럽 라운지에서 외신기자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04.28.  (뉴시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2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서울외신기자클럽 라운지에서 외신기자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04.28. (뉴시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대법원에서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된 이후 민주당에서 사법부를 향한 비난이 잇따르자 “매우 위험하고 반헌법적인 정치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현재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둘러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으로 인해 헌법 제84조, 즉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 조항을 둘러싼 논란이 점차 증폭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 논란은 결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라면서 “이재명 후보가 수년간 각종 재판에 직면해 온 결과이며, 특히 최근 대법원의 유죄 취지 판결로 인해 스스로 초래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상태에서 이재명 후보가 대선에 출마해 당선되더라도, 곧바로 당선 무효 또는 직위 상실에 이를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며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수천억 원 규모의 선거 비용 낭비는 물론, 국정 공백과 극심한 정치 혼란, 나아가 준(準)내전 상태에 가까운 사회적 분열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더욱 심각한 것은 이재명 후보와 민주당이 이런 법적 논란을 정공법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이기보다는, 사법부를 무력화하겠다는 위협성 발언을 하거나, 아예 삼권분립 제도를 부정하는 주장을 서슴지 않고 있다는 점”이라며 “이는 헌법을 지킬 의지가 전혀 없다는 것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책임 있는 대선 후보라면 지금이라도 대법원에 재판의 신속한 진행 여부를 공식적으로 질의하고 헌법재판소에 헌법 제84조의 적용 범위와 해석을 요청해 국민 앞에 모든 법적 쟁점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이재명 후보는 더 이상 침묵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앞서 이 후보는 또 다른 페이스북 글을 올려 “민주당이 ‘한 달 뒤에 보자’, ‘삼권분립을 없애야 한다’는 식으로 내일이 없는 삶을 살아가듯 말하고 있다”며 “이재명 후보의 대법원 판결이 대선 전에 나오기 어렵다고 보고, 사법부를 압박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전날(2일) 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의 박진영 전 부원장이 CBS 유튜브에서 “삼권분립이라는 것이 이제 막을 내려야 할 시대가 아닌가”라며 “사법부는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라고 말한 데 따른 것이다.

이 후보는 “1심처럼 집행유예로 봐주려고 하다가도 오만하고 방자한 후보와 천둥벌거숭이처럼 그에 대한 심기 경호에 몰두하는 사람들을 보면 제가 법관이라도 사회 안정을 위해 법정구속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어 “민주당이 지금 걱정해야 할 건 파기환송심 일정이 아니라 대선 후보가 법정구속 되는 사태”라며 “선거법 위반 2심에서 법정구속 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최대 40만 원 인상’ 국가장학금…올해 2학기부터 얼마나 늘까? [경제한줌]
  • 여름 제철 ‘냉면 값’, 전국 광역지자체 대부분 1만원 웃돌아 [물가 돋보기]
  • 충청 이어 남부도 ‘물폭탄’ 예고…폭우 뒤엔 폭염 다시 찾아온다
  • 강선우·이진숙 ‘버티기’ 돌입...주말이 고비
  • 檢, 공소사실 추가했지만…대법 "이재용 혐의 전부 무죄"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통장 3개 중 1개 서울로"… 청약시장 수도권 쏠림 뚜렷
  • 엔비디아 훈풍에 잘나가던 반도체株…하이닉스 급락에 제동 걸리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783,000
    • +0.4%
    • 이더리움
    • 4,681,000
    • +2.65%
    • 비트코인 캐시
    • 676,500
    • -0.51%
    • 리플
    • 4,598
    • +10.9%
    • 솔라나
    • 238,300
    • +1.02%
    • 에이다
    • 1,107
    • +6.96%
    • 트론
    • 431
    • +3.86%
    • 스텔라루멘
    • 650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10
    • -2.13%
    • 체인링크
    • 23,440
    • +2.49%
    • 샌드박스
    • 433
    • +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