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투자자 77% “자본시장 확대해야”…방법은 규제보다 인센티브

입력 2025-04-30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한상의, '국내 자본시장 투자 촉진을 위한 국민 의견 조사' 결과 발표

▲국내 자본시장 확대 필요성 관련 설문조사 결과. (제공=대한상공회의소)
▲국내 자본시장 확대 필요성 관련 설문조사 결과. (제공=대한상공회의소)

국내 개인 투자자 10명 중 8명은 자본시장 확대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규제보다는 투자 인센티브와 상품 다변화를 더 선호했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자본시장 투자촉진을 위한 국민 의견 조사’ 결과 응답자의 77.0%가 국내 자본시장 확대에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자체 온라인 플랫폼인 ‘소플’을 통해 투자자 171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자본시장 확대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투자인센티브 확대’(45.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투자상품 다양화 및 수익률 제고’(24.7%), ‘기업 규제 개선’(19.5%) 순이었다. ‘지배구조 규제 강화’는 10.2%에 그쳤다.

상의는 “배당세 분리과세, 밸류업 기업 지원 등 국회 계류 중인 투자 인센티브 법안들의 조속한 입법화가 중요하다”며 “금융소득 연 2000만 원 초과 시 적용되는 종합과세 기준 폐지 및 금액과 무관한 분리 과세, 장기 보유에 따른 세제 혜택 등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자자들은 자본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투자수단 도입에도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내년 출시 예정인 ‘종합투자계좌(IMA)’와 관련 응답자 74.3%가 투자할 의향이 있다고 했다.

민간자금을 공모해 자산의 40% 이상을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공모·상장형 투자기구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에 대해서도 66.4%가 투자 의향을 밝혔다. BDC 도입을 담은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지난 21대 국회에서 임기만료 폐기됐으나 이번 국회에도 계류돼 있는 상태다.

상의는“BDC와 IMA 모두 모험자본 의무투자비중이 규정돼 기업 자금조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특히 IMA는 전체 운용자금의 70% 이상을 기업금융에 배분하도록 설계돼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기업의 실질적 자금 공급 통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글로벌 관세 이슈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 대해 개인 투자자의 70.0%가 맞춤형 투자계획을 이미 수립했다고 답했다.

특히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여전히 예·적금 등 안전자산은 물론 주식 등에 대한 투자 의욕이 크게 꺾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2.4%가 올해 ‘주식’에 대한 투자비중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예·적금(15.3%), 금(8.5%) 순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기업의 ‘돈맥경화’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개인의 투자수요가 실제 투자로 이어질 수 있게 해 기업의 자금 수요를 충족하고 경제의 역동성을 회복해야 할 때”라며“기업과 투자자, 인센티브와 규제 등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고 다양한 금융상품도 빠르게 도입해 투자의 활로를 넓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G7 조기 귀국, 이란·이스라엘 휴전과 관련 없어…그보다 훨씬 큰 문제”
  •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K-원전' 위상도 쑥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⑦]
  • 인형 사려고 몸싸움까지…'라부부 재테크', 시작해도 될까요? [이슈크래커]
  • 단독 지난해 경력변호사→검사 임용 10배 늘었지만…‘경력직’도 퇴직 러시 [검찰, 어디로]
  • “북미 전력 공급량 급증”…전력 기기 시장도 활황 [AI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中]
  • 소비자 만족도 최고는 '새벽 배송'…'결혼서비스'가 최악인 이유는? [데이터클립]
  • 티빙+웨이브 통합 요금제 출시…진짜 ‘하나’가 된 걸까? [해시태그]
  • 환경 살리고 저렴하게 제품도 구입하고…녹색소비주간 활용법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626,000
    • -0.56%
    • 이더리움
    • 3,539,000
    • -2.21%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3.17%
    • 리플
    • 3,058
    • +0.92%
    • 솔라나
    • 208,800
    • -3.33%
    • 에이다
    • 862
    • -3.47%
    • 트론
    • 382
    • +2.14%
    • 스텔라루멘
    • 357
    • -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800
    • +0.71%
    • 체인링크
    • 18,440
    • -1.91%
    • 샌드박스
    • 362
    • -2.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