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글로벌 주요국들의 산업 특화 인공지능(AI) 경쟁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 내에서 AI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산업 AI 전략(M.A.P) 세미나 : 제조혁신의 미래를 설계하다’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AI 기술의 산업 현장 적용사례 소개를 통해 산업 AI 확산을 유도, 이를 뒷받침해 줄 지원정책들을 설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기조발표에 나선 장영재 카이스트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한동안 제조에 관심 없던 미국이 다시 제조역량에 집중하고 특히 미국 거대 IT기업들이 제조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건 대한민국에 큰 위협”이라며 “미국, 중국 제조와 경쟁하기 위한 우리만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산업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면 우리의 제조 현장을 AI 활용의 대규모 테스트베드로서 활용해야한다”며 “AI는 늦었지만, 산업 AI·제조 AI에는 아직 기회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물류자동화솔루션 기업 다임리서치는 작업자가 공장 안에서 실물 로봇을 조작하는 방식을 공장 밖 AI 디지털트윈을 통해 가상시스템이 실물 로봇을 제어하도록 전환함으로써 공장 투자비 30%를 감축시켰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올해 1월 발표한 ‘산업 AI 확산 10대 과제’에 기반해 올해 산업 AI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특히 AI를 통해 산업 현장의 구체적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만큼 범용 AI와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최근 관세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더욱 불안정해진 상황 속에서 산업부는 산업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해법으로 산업 AI 전략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초기 원천 기술 개발에서는 뒤처지더라도 창조적 응용, 수요자 맞춤형 최적화에 강한 우리 산업계의 실력을 발휘할 때”라며 “기업이 실제 필요로 하는 산업 특화 AI 모델과 산업 AI 에이전트를 구축해 산업 현장을 지능화·자율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선택과 집중 전략이 필요한데, 산업계에선 제조 AI가 가장 적합하다고 본다”라면서 “제조 분야 AI 주도권을 중국 등 추격국에게 내어주지 않도록 민관이 힘을 모아 산업AI를 확산시키기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