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학사 유연화 물밑 협의? 교육부 "사실무근"..."미복귀시 30일 유급 변함없다"

입력 2025-04-28 13: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업 참여율 답보…"미복귀 시 원할 때 복귀 어렵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의대생들의 유급시한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교육부가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들은 학칙에 따라 유급 처리하겠다며 올해는 학사 유연화 등 별도 조치 가능성이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국장)은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이달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내년에 24~26학번이 겹치는 상황이 된다“면서 ”학칙상 애매한 대학 2~3곳을 제외하고 다 유급 조치할 것이다. 4월 30일이 데드라인"이라고 밝혔다.

다만 "5월 초 행정 처리를 할지, 학기 말에 할지는 학교마다 다르다"며 총 세 개 학번이 1학년 과정을 동시에 이수하는 ‘트리플링’상황이 초래하는 것에 대해선 “이 경우 복귀를 원하는 학생들은 원하는 시기에 교육받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교육부는 전국 40개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과의 간담회 등 만남 진전 상황과 관련해선 “의대협으로부터 ‘교육부와 간담회를 할지 검토 중’”이라는 연락을 받았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의대협과 24·25학번 분리 교육 방안과 의대 교육 정상화 지원 방안 등에 논의할 전망이다.

교육부는 또 학사 유연화 조치와 관련해선 의대협과 관련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는 않다고 거듭 못 박았다. 김 국장은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의대협간 면담이 성사될 경우 학사 유연화 조치가 논의될 수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가능성은 0%"라고 일축했다.

이어 “교육부가 의대협과 공식적, 비공식적 등 물밑에서 협의하고 있다는 소문은 '루머(사실무근)'”라며 “어떤 채널을 통해서도 학사 유연화를 얘기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가 전국 의대생을 상대로 수업 복귀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와 관련해선 김 국장은 “현장에서 대략 70% 학생이 수업 복귀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도 “현재로선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크게 오르지 않고 있다. 의대생들이 30일까지 복귀해야 24·25학번의 분리 교육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24·25학번이 부담을 다 진다"며 “24·25·26학번이 내년 1학년에 모두 겹칠 경우 대부분의 대학이 26학번에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내용의 학칙 개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가 25.9%에 불과한 수업 참여율에도 불구하고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조정했지만 이날 현재까지 의대생 수업 참여율은 큰 변화가 없는 상태다. 교육부는 유급을 앞두고 학생들이 돌아올 것으로 기대하고 KAMC와 함께 대학별로 수업 참여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이날 자정까지 진행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88,000
    • -1.16%
    • 이더리움
    • 3,395,000
    • -3.28%
    • 비트코인 캐시
    • 657,000
    • -1.87%
    • 리플
    • 2,972
    • -0.77%
    • 솔라나
    • 197,700
    • -3.33%
    • 에이다
    • 812
    • -2.05%
    • 트론
    • 381
    • +0.26%
    • 스텔라루멘
    • 340
    • -1.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70
    • -2.61%
    • 체인링크
    • 17,650
    • -2.27%
    • 샌드박스
    • 348
    • -2.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