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와이바이오, ‘pH-감응항체 ADC’ 연구 "AACR 발표"

입력 2025-04-17 09: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성에서 활성화, ‘종양선택성↑ 항체’..‘MoA·ADC 안정성’ 등 포스터 발표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회사의 항체디스커버리 플랫폼을 통해 확보한 pH-감응 항체(pH-dependent antibody) 기반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연구성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회사는 지난해 11월 월드ADC(World ADC 2024)에서 pH-감응 항체를 활용한 ADC의 물질적 특성과 효능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AACR 학회에서는 그 연장선으로 이 항체의 pH-감응 원리와 ADC의 혈중 안정성 및 종양내 ADC 분포율 등이 일반 항체와 비교해 개선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의 pH-감응 항체기술은 산성 조건에서 주로 활성을 갖는 항체를 선별하는 기술이다. 종양 조직은 약산성을 띠는 반면 정상조직이나 혈액은 중성을 띤다. 일반 항체는 약산성과 중성에 관계없이 항원에 잘 결합하기 때문에 종양 조직뿐 아니라 정상 조직에도 결합해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

반면 pH-감응 항체는 표적항원이 정상조직과 암조직 양쪽 모두에서 발현되더라도 정상 조직의 항원에는 결합하지 않고, 암조직 항원에만 결합해 독성을 줄일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현재 많은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ADC 신약개발을 시도하고 있어 임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정상 조직에서의 독성으로 인한 용량조절에 따른 제한적인 치료 효능으로 임상중단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와이바이오는 표적 선택성을 향상시켜 독성을 근본적인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와이바이오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pH-감응 항체 기반 ADC가 종양미세환경(TME)에서 작동하는 원리와 일반항체 기반 ADC 대비 개선된 결과를 제시한다”며 “향후 다양한 종양 타깃에 대해 pH-감응 항체 발굴을 확장해 ADC 뿐만 아니라 종양세포를 특이적으로 타깃해야 하는 다양한 모달리티의 의약품 개발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234,000
    • +0.5%
    • 이더리움
    • 3,625,000
    • +3.22%
    • 비트코인 캐시
    • 692,500
    • +1.24%
    • 리플
    • 3,249
    • +4%
    • 솔라나
    • 210,100
    • +1.45%
    • 에이다
    • 838
    • +5.01%
    • 트론
    • 392
    • +0%
    • 스텔라루멘
    • 397
    • +15.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40
    • +1.91%
    • 체인링크
    • 19,260
    • +4.45%
    • 샌드박스
    • 352
    • +5.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