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SNS에 뜬 ‘러시아 용병 모집’ 광고

입력 2025-04-11 10: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젤렌스키 “러시아가 중국 참전시켜...155명 투입”

▲10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페이스북 계정에 게시된 영상 속에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생포된 중국인이 등장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10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페이스북 계정에 게시된 영상 속에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생포된 중국인이 등장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중국 소셜미디어(SNS)에 러시아 용병으로 입대를 권유하는 광고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고 1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한 광고 영상에는 백인 남성들이 참전을 위해 떠나는 모습과 함께 “당신은 강한 남자다, 그들처럼 돼라!”라고 하는 멘트가 나온다. 중국어 자막이 덧씌워진 이 영상이 대표적인 러시아 용병 구인 광고로 조회수가 수십만에 달한다.

이미 러시아 용병으로 모집이 됐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영상이나 30만 명 이상의 팔로워 수를 보유한 러시아 인플루언서가 중국어로 러시아 군대에 입대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재정적 이점을 설명하며 마치 ‘워킹 홀리데이’처럼 광고하는 게시물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들 영상에는 러시아 용병으로 갈 경우 가입과 동시에 6만~20만 위안(약 1192만~3973만 원)의 계약금을 주고 월 급여로는 1만8000위안(약 357만57000원) 정도를 받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가 중국을 전쟁에 가담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틀 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지역에서 중국인 두 명이 체포됐다”면서 “러시아가 전쟁에 중국의 개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후로도 젤렌스키 대통령은 붙잡힌 중국인 남성 중 한 명이 러시아군에 속한 중국인 155명 중 하나라며, 러시아가 중국에서 ‘체계적으로’ 용병을 모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전쟁 기간 북한과 시리아, 리비아 등 각국에서 외국 용병이나 군인 모집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 대해서는 러시아가 부인하고 있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가 중국 SNS 광고를 통해 중국에서도 용병을 모집했으며, 중국 당국 또한 이를 알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중국 SNS가 정부에 의해 엄격한 감시와 통제를 받는다는 점에서 이런 광고가 계속 나타나고 있는 것은 당국이 이 문제에 대해서는 제재를 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라고 가디언은 짚었다. 중국 당국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중국인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인 차이징은 최근 러시아 용병으로 참여한 중국인과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

인터뷰한 중국인은 중국군 출신으로 2023년 러시아군에 입대했으며, 이 용병은 중국군에서 얻을 수 없던 전쟁 경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주된 동기라고 설명했다. 급여 수준도 영향을 줬다고 부연했다.

또 러시아군이나 우크라이나군 중 어디든 합류할 수 있지만 비자 취득이 쉽기 때문에 러시아군에 참여하는 중국인이 더 많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25,000
    • +0.36%
    • 이더리움
    • 3,626,000
    • +3.25%
    • 비트코인 캐시
    • 694,000
    • +1.54%
    • 리플
    • 3,237
    • +3.48%
    • 솔라나
    • 209,800
    • +1.16%
    • 에이다
    • 837
    • +4.89%
    • 트론
    • 393
    • +0.51%
    • 스텔라루멘
    • 393
    • +13.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80
    • +1.42%
    • 체인링크
    • 19,220
    • +4.17%
    • 샌드박스
    • 352
    • +5.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