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자리'가 사람을 만들지 못할 때

입력 2025-04-1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회경제부 전아현 기자 @cahyun
▲사회경제부 전아현 기자 @cahyun

12·3 비상계엄 사태 발생 보름쯤 됐을 때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주심으로 정형식 재판관이 배정됐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헌재의 공정성 논박이 불이 붙은 건 아마 그때부터였다.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정 재판관은 당시 6인 체제였던 헌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지명한 유일한 사람이었다. 그가 주심을 맡았다는 사실이 누군가에게는 안도감을, 또 다른 이에게는 불안감을 심어줬다. 결과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해석이 난무했다.

당시 한 로스쿨 교수는 기자에게 “정 재판관은 평생 판사만 한 사람”이라며 “판사는 정치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법적 요건이 탄핵을 가리키는데 어떻게 판단을 달리하겠나”라고 반문했다.

그 후로 진보 성향 판사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출신 문형배·정계선 재판관을 향해서도 정치 편향 논란이 이어졌다. 대통령 권한대행은 국회가 선출한 마은혁 재판관 임명을 미뤘다. 탄핵 선고 전날 검사 출신 한 변호사는 “이제는 결과를 진짜 모르겠다”고 했다.

헌재를 둘러싼 무성한 소문들이 짙은 안개가 돼 탄핵심판의 본질을 흐리게 했다.

4일 헌재는 재판관 8명 전원일치로 윤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했다. 비상계엄 선포 요건, 계엄 포고령, 국회로의 군경 투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압수수색, 법조인 위치 확인 시도 등 모든 쟁점이 ‘올 빙고’ 위헌·위법이었다. ‘윤의 사람’으로 불리던 정 재판관은 주심으로서 파면 결정문 초안을 썼다.

계엄부터 파면까지 123일이 걸렸다. 지난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의 실체는 이미 명료하게 드러났다. 대통령 자리에 걸맞은 사람이냐 아니냐, 즉 중대성이 문제였다.

돌이켜보면 눈과 귀를 의심하게 만드는 순간의 연속이었다.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접했을 때, 계엄군이 기어코 국회 유리창을 깼을 때, 포고령 속 언론 통제 문구를 확인했을 때, 메시지가 지지자들만 향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을 때.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면 그러면 안 됐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고 한다. 직위에 어울리는 모습으로 사람이 변해간다는 말이다. 헌재 재판관들은 정치에 휘둘리지 않았다. 법관으로서 올곧은 판단을 내렸다.

윤 전 대통령은 그 자리에 어울리는 사람이었는가, 다시금 생각해 본다. 법과 원칙을 따른다던 검찰총장 출신 대통령은 임기를 3년도 채우지 못하고 파면됐다.

헌재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으로서 자신을 지지하는 국민을 초월해 사회공동체를 통합시켜야 할 책무를 위반했다’고 질책했다. 헌법수호의 책무를 저버리고 주권자인 국민의 신임을 중대하게 배반했다는 것이다. 자리가 만들지 못하는 사람도 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587,000
    • +2.35%
    • 이더리움
    • 2,329,000
    • +2.33%
    • 비트코인 캐시
    • 487,300
    • +0.81%
    • 리플
    • 3,033
    • +2.47%
    • 솔라나
    • 199,600
    • +0.76%
    • 에이다
    • 915
    • +2.92%
    • 이오스
    • 930
    • +2.76%
    • 트론
    • 348
    • -1.69%
    • 스텔라루멘
    • 370
    • +5.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00
    • +1.86%
    • 체인링크
    • 19,280
    • +2.99%
    • 샌드박스
    • 402
    • +5.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