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李 2심 무죄’에 “다행이다” “축하”

입력 2025-03-26 22: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박용진(왼쪽부터)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부겸 전 국무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이 1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인근 천막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 농성에 돌입한 김 전 지사를 응원하며 손을 모아 결의를 다지고 있다. (뉴시스)
▲박용진(왼쪽부터)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부겸 전 국무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경수 전 경남지사,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이 1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인근 천막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 농성에 돌입한 김 전 지사를 응원하며 손을 모아 결의를 다지고 있다. (뉴시스)

비이재명(비명·非明)계 대권 잠룡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 무죄를 선고받은 것이 “사필귀정”이라며 이 대표에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26일 자신의 SNS에 “이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 결과 무죄가 나왔다. 사필귀정”이라며 “애초부터 야당 대표를 겨냥한 정치 보복성 수사이자 무리한 기소였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어려운 조건에서도 현명하게 판결을 내려준 항소심 재판부의 용기에 경의를 표한다”며 “이번 기회에 무리한 수사와 기소의 원인이 된 관련 선거법과 사법 제도도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그간 고생하신 이 대표께도 위로와 함께 축하를 드린다”고 덧붙였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다행이다. 당원으로서 한시름 덜었다”라며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 헌정질서의 위기다.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했다.

김 전 총리는 이어 “윤 대통령 파면도, 삶의 터전을 위협하는 산불도 놓쳐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자신의 SNS에 “사필귀정. 검찰의 과도한 기소를 이제라도 바로 잡아 다행”이라고 글을 올렸다.

김두관 전 의원은 “검찰의 정적 죽이기와 표적 수사에 대한 사법부의 경종”이라며 “이제 헌재의 윤석열 파면만 남았다. 헌재는 윤석열 파면을 조속히 결정하시기 바란다”고 했다. 또 “정치의 중심은 다시 국민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서울고법 형사6-2부(부장판사 최은정 이예슬 정재오)는 이날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 대표에게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원심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278,000
    • +6.35%
    • 이더리움
    • 2,575,000
    • +10.18%
    • 비트코인 캐시
    • 518,000
    • +3.66%
    • 리플
    • 3,294
    • +9.18%
    • 솔라나
    • 218,700
    • +9.02%
    • 에이다
    • 1,015
    • +10.57%
    • 이오스
    • 962
    • +5.25%
    • 트론
    • 354
    • -1.12%
    • 스텔라루멘
    • 392
    • +1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410
    • +5.94%
    • 체인링크
    • 21,430
    • +11.5%
    • 샌드박스
    • 428
    • +8.6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