崔대행, 외교·산업·과기 차관 소집...美 민감국가 대응 총력

입력 2025-03-18 13: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처 떠넘기기 지적에 崔대행 직접 챙길 듯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면담하며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투데이DB)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면담하며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취재단 (이투데이DB)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에너지부(DOE)의 민감국가 지정 문제와 관련해 18일 오후 관계부처 차관들과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계 부처에 따르면 최상목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외교부·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 차관급들에 민감국가 문제 대응 방안을 보고받을 예정이다.

앞서 일각에선 3개 부처의 '떠넘기기' 행태를 우려하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최 대행이 직접 나서 이번 사안과 관련해 부처들이 서로 긴밀히 협조해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미 과학기술·에너지 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미국 측과 긴밀한 협의를 당부하는 등 관련 사안을 직접 챙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외교부는 전날 미국 측과 접촉한 결과, 민감국가 포함은 외교 정책상 문제가 아닌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배경이라고 전했다. 정부는 민감국가 지정이 핵무장 여론 등 정치적·정책적 이유가 아닌 기술적 이유에 따른 조치라는 게 확인된 만큼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도 논의할 전망이다.

산업부와 미국 에너지부는 이날부터 회담 준비를 위한 화상 실무협의도 가동한다. 이 자리에서 한국이 민감국가에 포함된 이유를 미국으로부터 직접 듣고 이를 바탕으로 재발 방지 대책 등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다음 달 15일 발효까진 시간이 촉박해 민감국가 해제 요청이 관철될지는 불투명하다.

한편 최 대행은 전날 대외경제현안간담회에서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것과 관련해 "관계기관들이 미국 측에 적극적으로 설명해 한미 간 과학기술 및 에너지 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라"며 "특히 산업부 장관이 이번 주 중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적극적으로 협의해달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안 장관은 이번 주말을 앞두고 미국 출장길에 오를 전망이다. 방미 기간 크리스 라이트 미 에너지부 장관을 만나 우리 측 입장을 설명하고 민감국가 제외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5:2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65,000
    • +1.17%
    • 이더리움
    • 2,549,000
    • +0.28%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1.55%
    • 리플
    • 3,151
    • +0.93%
    • 솔라나
    • 218,900
    • +2.67%
    • 에이다
    • 1,029
    • +4.47%
    • 이오스
    • 970
    • +3.97%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402
    • +6.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600
    • +18%
    • 체인링크
    • 21,670
    • +4.03%
    • 샌드박스
    • 436
    • +4.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