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관세 불확실성에 안정 수익 내는 ETF '줍줍'

입력 2025-03-11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5-03-10 17:53)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투자처 애매…초단기운용 수요 커져
경기침체 우려에 채권 투자도 '쑥'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공포로 국내 증시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좇는 투자자들이 파킹형, 채권 상장지수펀드(ETF)로 몰리고 있다.

10일 코스콤 ETF 체크 단말기에 따르면 지난 국내 ETF 시장에서 한 달간 자금 유입이 가장 많았던 'KODEX 머니마켓액티브'로 4420억 원이 순유입됐다.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초단기 채권과 기업어음(CP) 등에 투자하는 초단기 자금운용 상품이다.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합성)'에도 1079억 원의 뭉칫돈이 몰렸다. 이 상품은 양도성예금증서(CD) 1년 금리의 하루 치를 매일 복리로 수익에 반영하면서 동시에 코스피 200지수가 하루 1% 이상 상승 시 연 0.5%의 하루 치 수익을 추가로 지급한다.

이들 상품은 모두 파킹형 ETF에 속한다. 파킹형 ETF는 CD 금리 혹은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단기채, CP 등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머니마켓펀드(MMF)의 운용 방식을 활용한다. 리스크는 낮추면서 꾸준한 이자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하루만 돈을 넣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입출금이 자유로워 은행권 파킹통장과 유사하다.

아울러 순유입 상위를 기록한 상품은 채권 관련 ETF가 대부분이다. 'KODEX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와 'TIGER 종합채권(AA-이상)액티브'는 각각 순유입 4위(2258억 원), 5위(2225억 원)을 차지했다. 'ACE국고채10년'에도 957억 원이 몰렸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가 본격화하며 국내외 증시 불확실성을 커지자 안정적인 자금 운용처에 대한 수요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본격적인 투자처를 찾지 못한 대기자금은 파킹형 ETF로, 국내 경기 침체를 예상한 투자자들은 채권형 ETF로 쏠리는 모습이다. 대개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은 상승해 채권형 ETF 수익률은 높아진다.

트럼프에 맞서 중국·캐나다 등이 보복 관세로 대응하는 등 관세 전쟁이 현실화되면서 당분간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처에 대한 수요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당분간 시장 변동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는 만큼 투심이 유입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지난달 기준금리 인하 이후에도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 비관론 등을 고려하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다"며 "최근 증시 불안이 지속하는 가운데 채권형, 파킹형 상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노인 인구 1000만 명 시대…‘건강한 노화’ 열쇠 찾았다 [바이오포럼2025]
  • IMEI·IMSI 동시 유출 땐 복제폰 위험⋯전문가 "최악의 상황 고려하라"
  • 서울에서 자녀 출산한 무주택가구, 최대 720만 원 받으려면 [경제한줌]
  • 단독 한화에어로, 방산 1호 중대재해 적용 피할 듯…노동청, 내사종결 가닥
  • 단독 '고아계약' 사라지나…금융당국, 설계사 퇴사 시 수수료 승계 검토
  • 도루·헤드샷·벤치클리어링…야구 불문율 이제는 극혐? [요즘, 이거]
  • 단독 이재명 '호텔경제학' 근본은 '성매매 경제학'?
  • ‘불꽃야구’ 신입 내야수 박찬형, 롯데 자이언츠 유니폼 입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020,000
    • +1.21%
    • 이더리움
    • 3,530,000
    • -0.14%
    • 비트코인 캐시
    • 553,500
    • +0.18%
    • 리플
    • 3,315
    • -0.84%
    • 솔라나
    • 236,300
    • +1.11%
    • 에이다
    • 1,046
    • +0.19%
    • 이오스
    • 1,110
    • +2.59%
    • 트론
    • 379
    • +1.07%
    • 스텔라루멘
    • 405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860
    • -1.66%
    • 체인링크
    • 22,050
    • -0.54%
    • 샌드박스
    • 441
    • +0.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