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고에…산산조각 난 월가의 중국 계획

입력 2025-02-17 16: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2년간 중국 노출액 5분의 1 줄어
2023년 4대 은행 중국 이익 3370만 달러에 불과
미 규제·중 경기침체·미중 무역전쟁 영향 등 타격

▲월가 전경. 출처 게티이미지
▲월가 전경. 출처 게티이미지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IB)들이 미국 당국의 규제, 중국의 경기침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미·중 무역전쟁 등의 여파로 중국 시장에 대한 투자와 인력 규모를 대폭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약 5년 전 은행 시스템을 대외에 개방했을 당시의 낙관주의는 급랭했다는 진단이다.

1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월가 대형 IB들은 최근 2년간 대출, 거래, 투자 등 중국에 대한 노출액을 5분의 1가량 축소했다.

또 모건스탠리, 씨티그룹,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주요 글로벌 은행 4곳의 2023년 기준 중국 내 총 순이익은 3370만 달러(약 480억 원)에 그쳤다. 이는 2030년까지 총 90억 달러의 이익을 달성하겠다고 했던 진출 초창기 월가 전체 목표에 크게 못 미친다.

블룸버그는 외국 은행 중 어느 곳도 중국에서 의미 있는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알렸다. 가령 골드만삭스 증권 부문은 2023년까지 5년 동안 중국에서 6700만 달러의 순익을 냈는데, 이는 작년 한 해 동안 이 은행이 보고한 130억 달러가 넘는 글로벌 순익의 0.5%에 불과하다.

블룸버그는 “월가 은행들의 중국에서 퇴각 조짐이 최근 2년 동안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다”면서 “여러 차례의 구조조정을 거친 후,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더는 줄일 수 없을 정도로 인력을 감축했으며, 현재는 중국 규제 당국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인력만 유지한 채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중국 기업에 대한 투자 규정 강화하고 있으며 규정 또한 모호한 것이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중국 경제는 침체에 시달리고 있다. 그 여파로 중국 증시는 최근 4년 중 3년 동안 폭락했으며, 대규모 기업공개(IPO) 물량은 찾기 어렵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관세 전쟁이 발발하면서 양국의 긴장이 고조, 월가의 중국 사업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몇 년 전만 해도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이 중국 시장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하고, 골드만삭스가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 직원 수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을 구상했던 시기의 거침없는 낙관론과는 대조적으로, 지금의 분위기는 암울하다”면서 “이제 그러한 야심 찬 계획들은 산산조각 난 상태”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결국 역대 최악의 산불로…최다 사망‧최대 면적 피해
  • 서울대 의대생들 ‘1학기 등록’ 66% 찬성…‘단일대오’ 균열 커지나
  • 산불 난리에도 담배꽁초 '툭'…다시 떠오른 '안전불감증' 사회 [이슈크래커]
  • “탄핵 선고기일 지정해라” 현대차·한국지엠 노조 또 ‘정치파업’
  • 계열·협력·합작사 미 동반 진출…여의도 4배 면적에 ‘미래차 클러스터’ 형성 [베일벗은 HMGMA]
  • 스튜디오C1 새 시즌 시범경기 공개…이대호·정성훈 등 과거 프로 유니폼 입고 등장
  • 현대차·기아 70만대 美 관세 영향…한국지엠엔 ‘치명타’
  • 故 김새론 유족 측 김수현과의 카톡 메시지 공개…"17살 때 일"
  • 오늘의 상승종목

  • 03.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585,000
    • +0.28%
    • 이더리움
    • 2,972,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481,200
    • -2.49%
    • 리플
    • 3,469
    • -2.36%
    • 솔라나
    • 204,800
    • -0.92%
    • 에이다
    • 1,090
    • -0.46%
    • 이오스
    • 848
    • -1.51%
    • 트론
    • 345
    • +2.07%
    • 스텔라루멘
    • 423
    • -0.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350
    • +1.85%
    • 체인링크
    • 23,020
    • +1.32%
    • 샌드박스
    • 460
    • +0.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