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림피티에스, 세계 1위 농기계 존디어 업고 “우크라이나 재건참여 할 수 있다”

입력 2025-02-14 13: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파워트레인(Power Train) 분야 감속기 전문 기업 우림피티에스가 여러 방면에서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림피티에스는 세계 1위 농기계 존디어와 건설 중장기 기업 모트롤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공급 중이기 때문이다.

14일 우림피티에스 관계자는 “건설장비용 감속기(트랜스미션)로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라며 “건설장비용 감속기 주요 고객사로 농기계 기업 존디어, 중장비 기업 모트롤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폐허가 된 도시를 다시 짓고 농업을 재건하려면 중장비와 농기계가 필요한데, 우림피티에스는 두 분야 모두 납품을 하고 있으므로 수혜가 전망된다는 설명이다. 2023년 기준 우림피티에스의 고객사별 매출 비중은 존디어와 모트롤이 각각 25.6%, 18.4%를 기록하며 상위권을 차지했다.

트랜스미션은 엔진과 구동 바퀴 중간에서 엔진의 동력을 차의 주행 속도에 알맞게 변속시키는 장치로 농기계, 건설용 굴삭기 등에 적용되는 주행 및 선행 감속기를 의미한다. 우림피티에스는 산업용 건설장비 제조 노하우를 바탕으로 수입에 의존하던 80~100톤(t)급 대형 굴착기용 주행 감속기의 국산화를 성공시키고, 250톤 이동 크레인용 주행감속기를 개발한 바 있다.

하나증권은 건물, 도로, 전력망 등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규모가 9000억 달러(약 13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 우크라이나는 전쟁 전 ‘유럽의 곡창지대’라 불리며 옥수수, 밀, 보리 등 곡물 수출량이 세계 5위 안에 들기도 했기 때문에 관련 수주가 많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우림피티에스 관계자는 “중장비 파트를 대비하기 위한 신규 생산 라인은 토지 등 전부 구비된 상태로, 업황이 좋아지면 증축하려고 기회를 보는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림피티에스는 미래를 위한 역량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당사의 감속기는 로봇, 방산, 항공 등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데, 현재는 방산에 집중하고 있다”라며 “국내 방산 대기업으로부터 프로젝트성 과제나 수주를 많이 받았고, K2 전차용 정밀 기어 등 기존 과제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금감원, 무·저해지 절판 막는다…보험사 판매량 '일 단위' 보고
  • “러닝화에 77년 기술력 담아”…성수 푸마 ‘나이트로 하우스’[가보니]
  • 尹 대통령 ‘운명의 날’ 언제…이번 주 탄핵심판 선고 가능성
  • 가계부채비율 세계 최상위권인데…집값 뛰자 대출 또 '꿈틀'
  • 트럼프 혼란 속 중국증시 상승? ‘시진핑 풋’ 주목
  • 미국증시, 3주 만에 시총 5조달러 이상 증발...파월·젠슨 황 입에 쏠린 눈
  • 野, 주말 내내 ‘尹 파면 촉구’ 도심 집회
  • 바이두, 추론 AI 모델 등 2종 출시...딥시크와 본격 경쟁
  • 오늘의 상승종목

  • 03.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653,000
    • -0.29%
    • 이더리움
    • 2,811,000
    • -1.47%
    • 비트코인 캐시
    • 487,800
    • -3.79%
    • 리플
    • 3,427
    • -3.71%
    • 솔라나
    • 191,000
    • -3.97%
    • 에이다
    • 1,045
    • -5.26%
    • 이오스
    • 719
    • -2.84%
    • 트론
    • 317
    • -3.65%
    • 스텔라루멘
    • 395
    • -2.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150
    • -0.99%
    • 체인링크
    • 20,220
    • -2.03%
    • 샌드박스
    • 414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