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르익는 한동훈 재등판...숨은 걸림돌 ‘셋’

입력 2025-02-08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대표 사퇴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대표 사퇴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재등판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친한(한동훈)계 정치인들의 모임인 ‘언더73’은 김영삼(YS) 대통령 기념관을 찾아 “극단을 배격하자”고 밝혔다. 한 전 대표도 설 연휴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를 만나며 ‘신(新) 보수주자’의 면을 띄웠다.

2월 말 한 전 대표의 정치권 복위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그가 등판하면 당분간 여러 걸림돌을 돌파해야 한다는 말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①내려앉은 지지율

당장 맞닥뜨릴 상황은 내려앉은 지지율이다. 비상대책위원장 때부터 줄곧 범여권 차기 대권주자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했던 한 전 대표의 지지율은 대표직을 내려놓으면서부터 급격히 떨어졌다. 에이스리서치가 1~2일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통령 후보 적합도 조사를 실시해 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41.4%,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20.3%, 한동훈 전 대표 6.7%였다. (95% 신뢰수준에 ±3.1%p, 자세한 내용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 6.4%, 홍준표 대구시장 6.3%,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2.6%, 김동연 경기지사 1.9%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지지율은 금방 회복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김 전 위원장은 6일 CBS 라디오에서 “(한 전 대표가) 등판하면 아마 지지도가 상당히 결집할 것”이라며 “지난번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 당선 시 득표율인) 63%의 지지도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보지 않는다”고 했다. 또 친한계 인사는 “2월 말이 되면 극렬 지지자들의 영향은 줄어들고 중도층이 고개를 들면서 국면이 전환할 것”이라며 “그때는 오히려 ‘한동훈’이라는 사람이 필요한 때라는 인식이 생길 수 있다”고 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민전 최고위원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2024.11.28.  (뉴시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민전 최고위원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2024.11.28. (뉴시스)

②친윤계 비토

하지만 친윤(친윤석열)계가 사실상 장악한 국민의힘 내에서 한 전 대표가 보폭을 넓히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강하다. 여권 관계자는 “한 전 대표가 없는 지금 당 상황이 평화롭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쌍권’(권영세·권성동) 지도부가 당내 의원들과 불협화음이 없다는 의미에서다. 한 전 대표의 경우 12·3 비상계엄 해제부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 의결까지 번번이 반목을 빚어왔다.

벌써 친윤계는 한 전 대표에 견제구를 날리고 있다. 조정훈 의원은 6일 CBS 라디오에서 한 전 대표의 등판설에 “마이너스 정치”라며 “조기 대선이 없다는 게 당의 입장인데, 들어와서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면 마이너스 정치를 또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당에 적지 않은 지지자분들이 탄핵의 부당성을 외치고 있는데, 관계없이 ‘대통령 탄핵되고 그다음은 나’라고 하면 박수칠 우리 당 지지자는 별로 없다”고 했다.

③다시 시작될 ‘당게 논란’

친윤계 비판을 한껏 받았던 국민의힘 당원게시판 논란도 다시 불거질 수 있다.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하기 전 한 전 대표와 그의 가족 이름으로 당원게시판에 게재됐던 윤 대통령 부부 비방글과 관련해 당내 갈등이 심화했었다. 이 문제를 놓고 한 전 대표와 친윤계 김민전 당시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면충돌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늘어난 산불 인명피해…사상자 60명 집계
  • 사골·양지 육수의 깊은 맛...37년간 꾸준한 ‘국민 사랑’[K-라면 신의 한수②]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오늘(28일) 4막 13~16화 공개 시간은?
  • 전국 별별 여행 체험 아이템 다 모였다…“우리 지역에 놀러오세요” [르포]
  • 빔스부터 키스까지...뜨거운 패션 편집숍 경쟁, 왜?
  • 10대 제약사라도 평균 연봉은 ‘천차만별’…성별 격차도 여전
  • 결국 역대 최악의 산불로…최다 사망‧최대 면적 피해
  • 서울대 의대생들 ‘1학기 등록’ 66% 찬성…‘단일대오’ 균열 커지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3.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823,000
    • +0.26%
    • 이더리움
    • 2,961,000
    • -0.27%
    • 비트코인 캐시
    • 479,600
    • -2.8%
    • 리플
    • 3,451
    • -0.52%
    • 솔라나
    • 204,400
    • +1.04%
    • 에이다
    • 1,091
    • +1.68%
    • 이오스
    • 859
    • +0.47%
    • 트론
    • 348
    • +2.05%
    • 스텔라루멘
    • 424
    • +0.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550
    • -1.34%
    • 체인링크
    • 22,940
    • +2.14%
    • 샌드박스
    • 461
    • +0.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