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콜마 “여드름균 조절해 피부 노화 개선 가능”

입력 2024-12-13 10: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특허 기술로 슬로우에이징 트렌드 선도 목표

▲한국콜마 연구원이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고 관찰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콜마)
▲한국콜마 연구원이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고 관찰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콜마)

한국콜마가 여드름균과 노화의 연관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관련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을 활용해 슬로우에이징(Slow-aging) 화장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국콜마는 나이가 들수록 여드름균이 감소하고, 전체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자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을 SCI급 국제 저널인 ‘마이크로오가니즘(Microorganisms)’ 10월호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용어로, 체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이나 그 유전정보를 뜻한다. 마이크로오가니즘은 미생물 연구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다.

한국콜마는 정부의 ‘혁신성장 피부 건강 기반기술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경북대학교와 함께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공동 연구진은 20~29세와 60~75세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여드름균과 피부 노화의 연관성을 찾아냈다. 20~29세 피부에선 여드름균이 83%가량 있었지만, 60~75세 피부에는 61%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한국콜마는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유익한 여드름균의 양을 늘려주는 성분(미생물의 먹이)을 담을 '전달체'와 이를 잘 스며들게 할 제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콜마 연구진은 지난해 9월 세계화장품학회(IFSCC)에서 ‘피부 노화균을 조절하는 전달체 기술’을 발표했고, 올해 5월에는 세계생체재료학회(WBC)에서 ‘피부 밀착 증진 제형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한국콜마는 여드름균은 무조건 나쁘다는 인식을 깨고,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여드름균은 모공이 막히거나 피지가 과도하게 제거되는 등 유해한 환경이 조성되면 염증성 여드름을 촉진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하지만 반드시 박멸해야 하는 미생물은 아니다. 한국콜마는 아토피 유발 유해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aureus)’을 억제하는 유익한 여드름균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피부에 유익한 여드름균 조절을 통해 피부 노화를 개선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의 특허 출원을 완료했고, 내년 하반기에는 제품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255,000
    • -0.18%
    • 이더리움
    • 3,375,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657,500
    • -2.08%
    • 리플
    • 2,952
    • -0.54%
    • 솔라나
    • 195,700
    • -2.2%
    • 에이다
    • 803
    • -1.11%
    • 트론
    • 379
    • +0.26%
    • 스텔라루멘
    • 337
    • -1.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0
    • -2.33%
    • 체인링크
    • 17,380
    • -2.69%
    • 샌드박스
    • 0
    • -2.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