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우 국토장관 "철도파업 시 대체교통수단 최대 투입, 국민 불편 최소화"

입력 2024-12-04 16: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레일 노사, 마지막까지 합의 이끌어내 달라" 당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4일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경찰청,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코레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철도파업 대비 수송대책 점검회의(영상)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4일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경찰청,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한국철도공사 등 관계기관과 함께 코레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철도파업 대비 수송대책 점검회의(영상)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국토교통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4일 철도노조 파업 시 가용 가능한 모든 대체교통수단을 최대한 투입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것을 주문했다.

박상우 장관은 이날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경찰청,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함께 코레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철도파업 대비 수송대책 점검회의(영상)를 주재했다.

국토부는 이날부터 파업 종료 시까지 철도, 버스, 항공 등 관계기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정부합동 수송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 중이다.

박 장관은 “지금은 겨울철 한파와 폭설로 인해 예측할 수 없는 교통혼잡이 우려되는 시점”이라며 “파업을 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모든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코레일 노사는 책임감 있는 자세로 협상에 임해 마지막까지 합의를 이끌어내 달라”고 당부했다.

박 장관은 “만약, 교섭이 결렬돼 철도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철도를 이용하는 국민의 안전이 최우선 과제”라며 “출‧퇴근 시간에 평상시보다 혼잡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요 거점역에 대한 혼잡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박 장관은 특히 “파업기간 동안 이용객이 많은 KTX와 출‧퇴근 시간대의 광역전철에 대체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부족한 열차운행으로 인한 국민들의 교통수요는 고속‧광역버스, 택시, 국내선 항공기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대체교통수단을 최대한 투입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철도시설 및 차량 안전점검과 묵묵히 필수유지 업무를 담당하는 다수의 철도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 줄 것”을 지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늘어난 산불 인명피해…사상자 60명 집계
  • 사골·양지 육수의 깊은 맛...37년간 꾸준한 ‘국민 사랑’[K-라면 신의 한수②]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오늘(28일) 4막 13~16화 공개 시간은?
  • 전국 별별 여행 체험 아이템 다 모였다…“우리 지역에 놀러오세요” [르포]
  • 빔스부터 키스까지...뜨거운 패션 편집숍 경쟁, 왜?
  • 10대 제약사라도 평균 연봉은 ‘천차만별’…성별 격차도 여전
  • 결국 역대 최악의 산불로…최다 사망‧최대 면적 피해
  • 서울대 의대생들 ‘1학기 등록’ 66% 찬성…‘단일대오’ 균열 커지나
  • 오늘의 상승종목

  • 03.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773,000
    • +0.18%
    • 이더리움
    • 2,957,000
    • -0.44%
    • 비트코인 캐시
    • 479,800
    • -3.05%
    • 리플
    • 3,453
    • -0.66%
    • 솔라나
    • 204,300
    • +0.54%
    • 에이다
    • 1,089
    • +1.02%
    • 이오스
    • 859
    • +0.23%
    • 트론
    • 348
    • +1.46%
    • 스텔라루멘
    • 423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600
    • -1.81%
    • 체인링크
    • 22,920
    • +1.69%
    • 샌드박스
    • 460
    • +0.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