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만든 자율주행 교통신호 데이터 표준, 미국 표준으로…사실상 국제 표준

입력 2024-09-23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이투데이DB)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이투데이DB)

우리나라가 제안한 자율주행 교통신호 데이터 표준(TLSM·Traffic Light Signal Message)이 자율차 분야 사실상 국제표준인 미국의 표준이 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미국 자동차기술자협회 표준(SAE J2735)의 2024년 개정판으로 한국이 제안한 자율주행 교통신호 데이터 표준이 반영돼 16일(미국 현지시간) 발간됐다고 23일 밝혔다.

SAE J2735은 TLSM 등 자율주행 데이터 형식을 정의한 표준으로 전세계 자율주행 업계에서 사실상 지배적 표준으로 활용 중이다.

국표원은 지난해 SAE와 맺은 양해각서(MOU)를 바탕으로 SAE 표준 제·개정 활동 참여 등 표준협력을 추진해 왔다. 이번 성과는 경찰청과 한국도로교통공단이 개발하고 국표원이 국가표준(KS)으로 제정을 추진 중인 KS R 1600-3(교통신호 데이터)의 내용을 SAE J2735 개정 작업에 제안해 받아들여진 결과이다.

국표원은 2020년부터 관련 부처 및 업계와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데이터 국가표준(KS R 1600 1∼7)을 개발하고 있다.

자율주행 데이터 형식 표준화는 자율차-교통 인프라-스마트기기 간 소통을 위한 공용언어로써 자율주행의 기본적 안전 향상뿐 아니라 차량 공유, 원격 모니터링 등 미래 모빌리티 비즈니스 확장을 위해 필수적이다.

진종욱 국표원 원장은 "우리 자율주행 데이터 표준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첫 사례"라며 "국표원은 자율주행 인프라 구축 및 산업 활성화의 기본 토양이 되는 자율주행 데이터 국가표준(KS) 제정을 지속 추진하고, 한미 표준 협력 등 국제 협력을 통해 국내 기술의 세계화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조지호 경찰청장은 "한국형 교통신호 데이터의 미국 표준 반영은 그간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부처 간 협력의 결실"이라며 "표준화된 교통신호 정보는 자율주행차량뿐만 아니라 향후 모빌리티의 안전 운행을 지원하는 필수 정보인 만큼 수집·제공을 위한 인프라 확장에도 많은 지원과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강동구 싱크홀 매몰 남성 시신 수습…“심정지 상태로 발견”
  • 퇴직자·임직원 짜고 882억 부당대출…은행 대형비리 또 터졌다
  • '위기 속 빛난 이순신 리더십' 韓 기업 최초 2기 백악관 뚫은 정의선
  • 성장이냐 상품화냐…'언더피프틴'이 던진 물음표 [이슈크래커]
  • ‘1주년’ 맞은 아일릿 “힘든 일 많았지만, 함께여서 버틸 수 있었죠” [일문일답]
  • 영남권 중심으로 거세게 이어지는 산불…종합 피해 상황은? [이슈크래커]
  • 코인 묵히면서 벌자…파이 늘리고 싶은데 '파밍' 참여 망설였다면 [코인가이드]
  • "방송만 잘하는 게 아니네"…예능계 대표 MC 신동엽이 사는 '아크로리버파크'는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3.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7,705,000
    • -0.18%
    • 이더리움
    • 3,036,000
    • -0.33%
    • 비트코인 캐시
    • 485,100
    • -0.02%
    • 리플
    • 3,577
    • -0.64%
    • 솔라나
    • 206,000
    • +0.78%
    • 에이다
    • 1,086
    • +1.97%
    • 이오스
    • 857
    • +1.9%
    • 트론
    • 336
    • +0%
    • 스텔라루멘
    • 428
    • +1.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350
    • -0.19%
    • 체인링크
    • 22,450
    • +1.54%
    • 샌드박스
    • 444
    • +0.9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