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범·설영우, 챔피언스리그 무대 밟는다…김민재·이강인과 맞대결할까

입력 2024-08-29 14: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보되와의 경기에 출전한 황인범 (AP/연합뉴스)
▲보되와의 경기에 출전한 황인범 (AP/연합뉴스)

황인범(28)과 설영우(26·이하 츠르베나 즈베즈다)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무대를 밟는다.

즈베즈다는 29일(한국시간)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의 스타디온 라이코 마티치에서 열린 보되/글림트(노르웨이)와의 '2024-2025 UCL 플레이오프(PO)' 2차전 홈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 21일 열렸던 1차전 원정 경기에서 1-2로 졌던 즈베즈다는 합계 스코어 3-2를 달성해 극적으로 UCL 본선행에 성공했다.

황인범은 3선 미드필더, 설영우는 왼쪽 측면 수비수로 나란히 선발 출전해 풀타임을 소화했다. 축구 통계 매체 '풋몹(Fotmob)'은 이들에게 각각 8.1점, 7.9점을 부여했다. 득점을 기록한 우로스 스파히치가 8.3점으로 가장 높은 평점을 받은 걸 보면 이 둘이 얼마나 큰 활약을 했는지 알 수 있다.

이로써 황인범은 2시즌 연속으로 UCL 무대에 서게 됐다. 지난해 즈베즈다로 팀을 옮겨 팀의 리그 우승과 함께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한 황인범은 명실상부한 즈베즈다의 '에이스'다. 여러 이적설에 휘말리며 팀을 떠나는 듯했지만 일단 팀을 UCL 본선으로 진출시키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유럽 축구 이적 시장이 3일 정도 남은 상황에서 황인범의 거취가 어떻게 될지 많은 관심이 쏠린다. 올여름 즈베즈다로 이적한 설영우도 첫 시즌부터 UCL 무대를 밟게 됐다.

황인범과 설영우가 합류하며 이번 시즌 UCL에서 뛰는 한국인은 총 5명이 됐다. 김민재(28·바이에른 뮌헨), 이강인(23·파리 생제르맹), 양현준(22·셀틱)과 함께 '별들의 전쟁' UCL 무대에서 맞대결을 펼칠 예정이다. 여기에 얼마 전 지로나 FC와 연장 계약을 맺은 '유망주' 김민수(18)가 1군에 합류한다면 한국인은 총 6명으로 늘어난다.

한편, 조규성(26)과 이한범(22)이 뛰는 FC 미트윌란은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슬로바키아)에 밀려 UCL 진출에 실패했다. 조규성은 부상으로 결장했고, 이한범은 벤치에 앉았지만 경기엔 뛰지 못했다. UCL 진출에 실패한 미트윌란은 유로파리그(UEL)에서 유럽 대항전 일정을 이어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디저트부터 케이팝까지… 신세계명동, K컬처 성지로
  • 지니어스法 통과…리플 등 알트코인, ‘불장’ 신호
  • '불꽃야구' 이대호, 동아대전 생중계 직관서 만루홈런 '쾅'…박재욱 멀티히트 '맹활약'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닷새간 폭우로 사망 14명·실종 12명⋯장마 끝나자 폭염 시작
  • 李정부, 법인·대주주 '尹부자감세' 전면 복원...법인세 원상 복구할 듯
  • '소비쿠폰' 21일부터 신청… 첫주 출생연도 따라 요일제
  • 59㎡ 아파트가 40억대…소형아파트 매매가 또 경신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245,000
    • -0.44%
    • 이더리움
    • 5,051,000
    • +3.55%
    • 비트코인 캐시
    • 717,000
    • +2.28%
    • 리플
    • 4,758
    • +0.98%
    • 솔라나
    • 245,500
    • +1.53%
    • 에이다
    • 1,160
    • +2.02%
    • 트론
    • 437
    • -1.8%
    • 스텔라루멘
    • 635
    • -0.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00
    • -2.15%
    • 체인링크
    • 26,330
    • +7.25%
    • 샌드박스
    • 457
    • +3.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