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300명 초과 일본 기업…‘여성 관리직’ 비율 공개 의무화

입력 2024-06-28 13: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00명 초과 기업 1008곳부터 시작
향후 100명 초과 기업도 대상 포함
“남녀 임금 격차 해소 등 도움될 것”

일본 정부가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여성 관리직 비율 공개를 의무화한다. 후생노동성은 이를 통해 남녀 임금 격차를 줄이는 한편, 여성 취업의 확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28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후생성 발표를 인용해 “상장 여부와 관계없이 직원 300명 초과 기업을 대상으로 관리직 여직원 비율을 공표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먼저 대상이 된 기업은 총 1008곳이다.

닛케이는 “일본은 남녀 임금 격차가 주요 7개국(G7) 가운데 가장 크다”며 일본 정부가 여성 관리직 비율 공개를 계기로 기업이 여성 관리직 등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길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개 기준이 되는 회사는 단계적으로 늘어난다. 후생성은 종업원 100명을 초과하는 기업도 공표 의무화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법제화될 경우 약 5만 개 기업이 여성 관리직 비율을 공개해야 한다. 이르면 내년 정기국회에서 해당 법률 개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다만 여성 관리직 비율을 공개하지 않아도 별도의 제도화된 불이익은 없다. 그러나 비공개 기업의 경우 취업 기피 대상이 될 수 있어 해당 정책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후생성은 기대하고 있다.

후생성 통계에 따르면 일본 기업에서 여성 비율은 과장급이 13.2%, 부장급은 8.3%에 불과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크립토위크' 순항 기류에 비트코인 소폭 상승…이더리움 3300달러 돌파
  • 해마다 오르는 최저임금...흔들리는 중기·소상공인 생존권
  • 아파트도 잠겼다…물폭탄 맞은 충남, 호우피해 현장 모습
  • 해외 자사주 규제 엄격하다지만…재무전략 자산으로 활용
  • ‘삶의 질’ vs ‘생산성’⋯노동계-경영계 극명한 입장 차
  • 스타벅스, 또 프리퀀시 대란⋯불만 속출에도 ‘시스템 탓’
  • "오작동 아니었으면 못 잡았다"…안동 '여고 시험지 유출' 전말
  • '골 때리는 그녀들' 구척장신, 불나비에 3-1 승리⋯4강 직행ㆍ김진경 멀티골
  • 오늘의 상승종목

  • 07.17 12: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399,000
    • +0.23%
    • 이더리움
    • 4,552,000
    • +6.58%
    • 비트코인 캐시
    • 671,000
    • -1.61%
    • 리플
    • 4,130
    • +3.69%
    • 솔라나
    • 231,800
    • +3.9%
    • 에이다
    • 1,017
    • +0.2%
    • 트론
    • 422
    • +2.18%
    • 스텔라루멘
    • 619
    • -1.59%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170
    • -0.76%
    • 체인링크
    • 22,360
    • +2.1%
    • 샌드박스
    • 423
    • -1.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