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늘고, 금융기관 문턱 높아져… 산업대출 증가폭 3분기 연속 감소세

입력 2023-06-09 14: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분기 말 기준 1818조 원…전분기말 대비 20조8000억 원 증가

1분기 산업 대출 증가폭이 3분기 연속 둔화했다. 회사채 등 직접금융 여건이 개선되고 일부 금융기관이 대출 문턱을 높인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818조4000억 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20조8000억 원 증가했다.

산업별 대출금 증가폭은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던 지난해 2분기(68조4억 원)를 정점으로 3분기(56조6000억 원)와 4분기(28조 원),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축소됐다.

1분기 증가폭은 2019년 3분기(20조5000억 원) 이후 최소를 기록했다.

박창현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회사채 등 직접금융 여건이 개선되면서 대출 수요가 둔화되고, 일부 금융기관이 대출건전성 관리를 강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채 순발행 규모는 지난해 3분기 3000억 원, 4분기 -5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15조3000억 원으로 급증했다.

산업별로 보면 3월 말 기준 제조업 대출잔액은 441조7000억 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1조원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8조4000억 원 늘어난 1174조9000억 원이었다.

제조업은 수출기업 등의 운전자금 수요가 커지면 증가폭이 지난해 4분기 3조8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11조 원으로 확대됐다.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15조8000억 원에서 8조4000억 원으로 줄었다.

서비스업 중 금융·보험업은 신탁계정 어음매입 대출 축소,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증가 등으로 대출 감소폭이 지난해 4분기 1조7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4조8009억 원으로 확대됐다.

부동산업 역시 업황 부진 및 리스크관리 강화 등으로 대출 증가폭이 같은 기간 8조8000억 원에서 5조1000억 원으로 줄었다. 이는 2017년 1분기(5조1000억 원) 이후 최소 증가폭이다.

다만 도·소매업의 경우 운전 및 시설자금이 모두 늘며 증가폭이 지난해 4분기 3조2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4조2000억 원으로 늘어났다.

건설업의 경우 미분양 증가 등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경계감이 지속되면서 증가폭이 3조3000억 원에서 9000억 원으로 둔화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충격과 방수에 강하다”…갤럭시 NEW 러기드폰, 국내서 살 수 있을까
  • 항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별 메달 순위 - 10월 4일 오전 9시
  • "이거 쓸만하네" TV 대용으로 손색없는 '삼탠바이미'
  • 디에이치·오티에르…선택받은 소수만 허용되는 아파트 '하이엔드 브랜드'
  • 단독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 웹3.0ㆍ블록체인 발 담궜다
  • 33조 몰린 두산로보틱스, 첫 ‘따따블’ 주인공 되나요
  • “전 국민 길티플레저” ‘나는 솔로 16기’가 남긴 것들
  • "주취 승객 막아라"...택시 칸막이법 발의
  • 오늘의 상승종목

  • 10.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420,000
    • -0.36%
    • 이더리움
    • 2,232,000
    • -1.54%
    • 비트코인 캐시
    • 310,400
    • -5.31%
    • 리플
    • 721.7
    • +3.43%
    • 솔라나
    • 31,490
    • -5.67%
    • 에이다
    • 346.9
    • -3.48%
    • 이오스
    • 783.3
    • -5.24%
    • 트론
    • 120.8
    • +0.92%
    • 스텔라루멘
    • 153
    • +0.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250
    • -5.36%
    • 체인링크
    • 10,200
    • -2.3%
    • 샌드박스
    • 400.3
    • -4.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