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2023년 1분기 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모든 산업 대출금은 1818조4000억 원으로 전분기 말 대비 20조8000억 원 증가했다.
산업별 대출금 증가폭은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던 지난해 2분기(68조4억 원)를 정점으로 3분기(56조6000억 원)와 4분기(28조 원),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축소됐다.
1분기 증가폭은 2019년 3분기(20조5000억 원) 이후 최소를 기록했다.
관련 뉴스
박창현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장은 "회사채 등 직접금융 여건이 개선되면서 대출 수요가 둔화되고, 일부 금융기관이 대출건전성 관리를 강화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채 순발행 규모는 지난해 3분기 3000억 원, 4분기 -5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15조3000억 원으로 급증했다.
산업별로 보면 3월 말 기준 제조업 대출잔액은 441조7000억 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1조원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8조4000억 원 늘어난 1174조9000억 원이었다.
제조업은 수출기업 등의 운전자금 수요가 커지면 증가폭이 지난해 4분기 3조8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11조 원으로 확대됐다.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15조8000억 원에서 8조4000억 원으로 줄었다.
서비스업 중 금융·보험업은 신탁계정 어음매입 대출 축소, 채권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증가 등으로 대출 감소폭이 지난해 4분기 1조7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4조8009억 원으로 확대됐다.
부동산업 역시 업황 부진 및 리스크관리 강화 등으로 대출 증가폭이 같은 기간 8조8000억 원에서 5조1000억 원으로 줄었다. 이는 2017년 1분기(5조1000억 원) 이후 최소 증가폭이다.
다만 도·소매업의 경우 운전 및 시설자금이 모두 늘며 증가폭이 지난해 4분기 3조2000억 원에서 올해 1분기 4조2000억 원으로 늘어났다.
건설업의 경우 미분양 증가 등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경계감이 지속되면서 증가폭이 3조3000억 원에서 9000억 원으로 둔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