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15년 넘는 논의 끝에 국제해양 조약 제정 합의...‘역사적 합의’

입력 2023-03-05 17: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해 해양 생태계 보호가 핵심
심해 자원 개발, 어획, 항로 등 제한
부국과 빈국 간 개발 격차도 완화 전망

▲2022년 6월 11일 케냐 해양보호구역에서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다. AP연합뉴
▲2022년 6월 11일 케냐 해양보호구역에서 물고기가 헤엄치고 있다. AP연합뉴

유엔 회원국들이 15년 이상의 논의 끝에 전 세계 바다를 보호하기 위한 국제해양조약 제정에 합의하면서 전 세계 해양 생물 다양성을 보호할 획기적 조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유엔 해양 및 해양법 대사 레나 리는 이날 오후 9시 30분 밤샘 마라톤 회의 끝에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협상이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협상 문구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핵심은 2030년까지 공해를 포함한 전 세계 바다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것이다.

보호구역에서는 심해 광물 채굴, 어획, 항로 등 각종 활동에 제한이 생기고, 공해상 활동에 대한 환경평가가 의무화된다.

회원국들이 생물 다양성 등의 문제를 책임지고 논의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회의를 하는 당사국회의도 설립될 예정이다.

공해는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부터 대양으로 뻗은 해역으로 통상 각국 해안에서 200해리(약 370㎞)밖에 있는 해역을 가리킨다. 공해에는 국가 관할권이 없다.

공해는 전체 바다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지만, 자원 난개발이나 남획, 기후 변화로부터 공식적 보호를 받는 건 공해의 약 1%에 그친다. 이번 합의가 역사적 합의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이는 해양 자원 발굴과 개발을 두고 계속된 부국과 빈국 간 마찰도 염두에 둔 합의다. 값비싼 연구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개발도상국들은 그간 공해에서 발견된 자원에서 비롯된 수익 배분에서 제외되지 않기 위해 투쟁해야 했기 때문이다.

또 지구상에서 가장 넓은 천연 탄소흡수원으로 꼽히는 바다를 보호함으로써 지구의 회복 탄력성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합의 전 가장 최근 해양 보호 국제 협약은 1982년 유엔 해양법 협약이다. 이번 논의도 공식 협상이 진행된 기간만 4년이다. 막판 협상은 1년이 덜 걸렸고, 최종 협상은 2주 동안 협의 끝에 타결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합의는 다자주의의 승리이자 해양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한 세계적인 노력의 승리”라고 평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에 월가 비관론 확산…증시 전망 줄줄이 하향
  • 한미 재무·통상장관, 이번주 美워싱턴서 '2+2 통상협의'
  • [종합] 한덕수, FT와 인터뷰서 “대선 출마 결정 아직…미국 관세에 맞대응 안 해”
  • 트럼프, 국세청 수장 인선에 베선트 ‘손’…백악관서 힘 빠지는 머스크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에 150원 오른다…대선 이후 인상 전망
  • “미쉐린 식당 모두 모였네”…백화점, 고급·차별화 F&B로 불황 타개
  • 심현섭, 오늘(20일) 장가가는 날…11살 연하 정영림과 결혼식 현장 공개
  • 16개월 아기부터 77세 어르신까지…123층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수직 질주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94,000
    • -0.54%
    • 이더리움
    • 2,282,000
    • -1.47%
    • 비트코인 캐시
    • 482,300
    • -0.45%
    • 리플
    • 2,972
    • -0.97%
    • 솔라나
    • 197,300
    • -1.1%
    • 에이다
    • 889
    • -1%
    • 이오스
    • 947
    • +4.53%
    • 트론
    • 355
    • +2.01%
    • 스텔라루멘
    • 351
    • -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10
    • +0.65%
    • 체인링크
    • 19,010
    • +2.92%
    • 샌드박스
    • 392
    • +2.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