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이용자 1인당 대출액 1492만원... 반년 새 180만 원 늘었다

입력 2022-12-28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감원, 상반기 대부업 대출잔액 15.8조 전년 말 대비 8.4% 증가

올 상반기 1인당 평균 대부업 대출액이 1500만 원에 육박했다. 대부업 이용자 수는 감소했지만, 담보대출 비중 증가 등 대부 잔액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8일 '2022년 상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올해 6월(상반기)까지 대부이용자 1인당 대출잔액이 1492만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1308만 원 보다 184만 원 늘어난 수치다.

담보대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1인당 대출잔액은 2020년 말 1047만 원, 지난해 6월 1180만 원으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올 상반기 대출잔액은 15조 8764억 원으로 지난해 말(14조 6429억 원) 대비 8.4%(1조2335억 원) 증가했다.

이중 신용대출은 7조 3276억 원으로 지난해 말(7조298억 원)과 비교해 4.2% 늘었다. 담보대출은 8조 5488억 원을 기록, 전년 말(7조6131억 원) 보다 12.3% 급증했다.

평균 대출금리는 14.0%로 지난해 말(14.7%) 보다 0.7% 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7월 법정최고금리가 20%로 인하됐기 때문이다.

현재 등록 대부업자(대부중개업자 포함) 수는 8775개로 지난해 말(8650개) 대비 125개 늘었다.

대부이용자 수는 106만4000명으로 지난해 말(112만 명) 대비 5%(5만6000명) 감소했다. 저축은행 인수계열 및 일본계 대부업자의 감소세 지속 등의 영향이다.

연체율(원리금 연체 30일 이상)은 6.0%로 지난해 말(6.1%)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매입추심업의 현재 매입채권 잔액은 6조 2847억 원으로 전년 말(5조 9327억 원) 대비 5.9%(3520억 원) 증가했다.

대부중개업의 상반기 중개 건수는 24만1000건으로 지난해 하반기(25만9000건) 대비 6.9%(1만8000건)건 감소했다.

금감원은 "최근 자금조달 비용증가 및 법정 최고금리 인하가 저신용자 신용공급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며 "불법 채권추심, 불법사금융 등에 대한 검사·단속을 강화해 취약차주에 대한 민생침해 방지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에 월가 비관론 확산…증시 전망 줄줄이 하향
  • 한미 재무·통상장관, 이번주 美워싱턴서 '2+2 통상협의'
  • [종합] 한덕수, FT와 인터뷰서 “대선 출마 결정 아직…미국 관세에 맞대응 안 해”
  • 트럼프, 국세청 수장 인선에 베선트 ‘손’…백악관서 힘 빠지는 머스크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에 150원 오른다…대선 이후 인상 전망
  • “미쉐린 식당 모두 모였네”…백화점, 고급·차별화 F&B로 불황 타개
  • 심현섭, 오늘(20일) 장가가는 날…11살 연하 정영림과 결혼식 현장 공개
  • 16개월 아기부터 77세 어르신까지…123층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수직 질주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271,000
    • -0.44%
    • 이더리움
    • 2,284,000
    • -1.38%
    • 비트코인 캐시
    • 482,300
    • -0.17%
    • 리플
    • 2,975
    • -0.77%
    • 솔라나
    • 197,500
    • -1.2%
    • 에이다
    • 889
    • -1.11%
    • 이오스
    • 952
    • +4.85%
    • 트론
    • 355
    • +1.72%
    • 스텔라루멘
    • 351
    • -0.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10
    • +0.68%
    • 체인링크
    • 19,080
    • +3.53%
    • 샌드박스
    • 392
    • +2.6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