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밀 전문 생산단지 74곳 선정…전년 대비 재배면적 36.2%↑

입력 2022-08-03 17: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농식품부 "자급률 높이고 품질 고급화 추진"

▲전북 완주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관계자들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우리밀을 수확하고 있다.  (뉴시스)
▲전북 완주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관계자들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우리밀을 수확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국산 밀 품질 향상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밀 전문 생산단지를 확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년도 국산 밀 전문 생산단지 74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2020년부터 밀 자급률을 높이고 국산 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밀 전문 생산단지를 육성하고 있다.

밀 전문 생산단지는 2020년 27곳에서 지난해에는 2배 수준인 51곳까지 늘었다. 내년에도 20곳 이상이 늘어나는 셈이다. 재배면적도 올해 5332㏊에서 내년에는 7248㏊로 확대된다.

이번에 선정된 생산단지의 지역별 면적은 전북이 3538㏊로 전체의 48.8%를 차지했고, 이어 전남 2275㏊, 광주 524㏊ 등의 순이다.

농식품부는 이들 생산단지를 대상으로 공동영농 등을 위한 교육, 밀 정부보급종 종자 할인 공급, 정부비축 우선 매입, 밀 생산 시설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이달 중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을 받아 내달까지 일반 가격의 반값에 공급한다. 공급 품종은 새금강, 금강, 백강, 조경 등 4종이다. 또 밀 건조·저장을 위한 시설과 장비 지원사업의 경우 이달 말까지 해당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신청받아 10월 중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생산단지 수요를 반영해 재배와 수확에 필요한 장비 종류도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김보람 농식품부 식량산업과장은 "정부는 국산 밀 생산확대 및 품질 향상을 위해 밀 전문생산단지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라며 "밀 자급률 제고 및 안정적 공급을 위한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제도도 개선·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수도권 공급,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이 답…수도권 추가 택지 발굴 가능성도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중동 화약고 폭발 ‘초읽기’…美 직접 개입 검토·후티 참전 선언
  • 李 대통령, 6개월 만에 정상외교 본궤도에..."실용외교 첫발"
  • 매크로·가짜 티켓…진화하는 ‘암표 범죄’에 법도 속수무책
  • 시총 10배 수주잔고 쌓은 세아메카닉스...이성욱 "방산 인수도 고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60,000
    • -0.65%
    • 이더리움
    • 3,527,000
    • -0.68%
    • 비트코인 캐시
    • 654,500
    • -0.53%
    • 리플
    • 3,004
    • -2.21%
    • 솔라나
    • 205,400
    • -2.19%
    • 에이다
    • 856
    • -1.5%
    • 트론
    • 380
    • -0.52%
    • 스텔라루멘
    • 351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50
    • -2.21%
    • 체인링크
    • 18,200
    • -1.83%
    • 샌드박스
    • 360
    • -1.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