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밀 재배면적 1년 새 32%↑…전문 단지 조성·수매 확대 등 효과

입력 2022-06-29 16: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1년부터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 시행…정부 "생산량·자급률 높아질 것"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국산 밀 생산단지에서 농부들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뉴시스)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에 조성된 국산 밀 생산단지에서 농부들이 밀을 수확하고 있다. (뉴시스)

밀 재배면적이 1년 새 30% 이상 늘어났다. 정부는 전문 단지 조성과 수매 확대 등 육성 정책이 효과를 나타났다며 생산량과 자급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2년 맥류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밀 재배면적은 8259㏊로 전년 6224㏊ 대비 32.7%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전남 3277㏊, 전북 2852㏊, 광주 892㏊, 경남 805㏊ 순으로 집계됐다.

밀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맥류 품목별 순위에서도 2020년 쌀보리, 맥주보리, 겉보리, 밀 순에서 올해는 쌀보리에 이어 밀이 두 번째로 올라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1년부터 시행한 '밀 산업 육성 정책'이 밀 재배를 늘리는데 큰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2021년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세우고 지난해 39곳이었던 밀 전문 생산단지를 올해 51곳으로 늘렸다. 수확기 건조·저장 시설 지원은 지난해 2곳에서 올해 4곳으로 확대했고, 정부보급종자 50% 할인공급도 지난해 1300톤에서 올해 1900톤으로 증가시켰다.

또 국산 밀 가격을 안정시키고 수요를 늘리기 위해 정부 수매 물량은 지난해 8000톤에서 올해 1만7000톤으로 늘리고 제분·가공지원 예산 16억 원도 마련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밀 재배면적 증가에 따른 국산 밀 생산량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밀 자급률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밀 재배면적 확대를 위해 전문 생산단지 및 건조·저장시설 지원을 강화해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정부 비축을 확대해 자급률을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631,000
    • +1.57%
    • 이더리움
    • 3,756,000
    • +5.8%
    • 비트코인 캐시
    • 695,500
    • +2.2%
    • 리플
    • 3,273
    • +4.3%
    • 솔라나
    • 213,500
    • +3.74%
    • 에이다
    • 844
    • +5.5%
    • 트론
    • 393
    • +0.51%
    • 스텔라루멘
    • 390
    • +11.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440
    • +1.47%
    • 체인링크
    • 19,370
    • +2.43%
    • 샌드박스
    • 364
    • +7.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