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중앙의 정치인들이 만든 소란 때문"… 황교익, 경기관광공사 사장 내정자 자진사퇴

입력 2021-08-20 07: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경기관광공사 사장에 내정됐던 음식 칼럼니스트 황교익 씨가 후보를 자진 사퇴했다. 황씨는 20일 오전 페이스북에 “폐를 끼치고 싶지 않기에 경기관광공사 사장 후보자 자리를 내놓겠다”고 적었다.

그는 이날 “저의 전문성과 경영능력은 인사추천위원회 위원들로부터 이미 검증을 받았고 최종으로 경기도민을 대표하는 도의회 의원들의 선택을 받아 경기관광공사 사장으로 일하고 싶었습니다”고 운을 뗐다.

이어 “그런데, 국회의원 등 중앙의 정치인들이 경기도민의 권리에 간섭을 하고 경기도민을 무시하는 일이 발생했다”고 했다.

황씨는 “경기관광공사 사장이 되면 하고 싶은 일이 있었고 신나게 일할 생각이었지만 그러나 도저히 그럴 수 없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며 사퇴 의사를 밝혔다.

△ 다음은 음식 칼럼니스트 황교익씨가 페이스북을 통해 밝힌 자진 사퇴 전문이다.

경기관광공사의 주인은 경기도민입니다. 저의 전문성과 경영능력은 인사추천위원회 위원들로부터 이미 검증을 받았고 최종으로 경기도민을 대표하는 도의회 의원들의 선택을 받아 경기관광공사 사장으로 일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국회의원 등 중앙의 정치인들이 경기도민의 권리에 간섭을 했습니다. 경기도민을 무시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경기관광공사 사장이 되면 하고 싶은 일이 있었습니다. 신나게 일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러나 도저히 그럴 수 없는 환경이 만들어졌습니다. 중앙의 정치인들이 만든 소란 때문입니다.

이미 경기관광공사 직원들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듯합니다. 폐를 끼치고 싶지 않습니다. 경기관광공사 사장 후보자 자리를 내놓겠습니다. 소모적 논쟁을 하며 공사 사장으로 근무를 한다는 것은 무리입니다.

제 인격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정치적 막말을 했습니다. 정중히 사과를 드립니다. 그럼에도 이해찬 전 대표가 저를 위로해주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정치적 의견이 달라도 상대의 인격과 권리를 침해하면 안 됩니다. 한국 정치판은 네거티브라는 정치적 야만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국민이 주권을 올바르게 행사할 수 있게 대권 주자 여러분은 정책 토론에 집중하길 바랍니다.

아침 해를 봅니다. 툴툴 털고 새날을 맞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탕탕 후루후루”·“야레야레 못 말리는 아가씨”…나만 킹받는거 아니죠? [요즘, 이거]
  • 변우석 팬미팅·임영웅 콘서트 티켓이 500만 원?…'암표'에 대학교도 골머리 [이슈크래커]
  • 창업·재직자 은행 대출 어렵다면…'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 대출' [십분청년백서]
  • 서울고법 "최태원, 노소영에 1조3800억원 재산분할"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용산역 역세권에 3.7M 층고…코리빙하우스 ‘에피소드 용산 241’ 가보니[르포]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388,000
    • +0.62%
    • 이더리움
    • 5,202,000
    • -1.4%
    • 비트코인 캐시
    • 650,000
    • +0.46%
    • 리플
    • 724
    • -1.36%
    • 솔라나
    • 231,500
    • -0.56%
    • 에이다
    • 622
    • -2.2%
    • 이오스
    • 1,116
    • -1.15%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7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0.17%
    • 체인링크
    • 25,130
    • -3.31%
    • 샌드박스
    • 608
    • -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