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독일, '서비스로봇' 분야 신규 R&D 프로그램 추진

입력 2018-01-31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양국 우수 기업과 연구소ㆍ대학 간 기술 협력의 문 열려

산업통상자원부는 독일 교육연구부(BMBF)와 산ㆍ학ㆍ연 협력형 신규 연구개발(R&D) 사업(한-독 2+2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독일 교육연구부(BMBF)는 2016년 11월 한ㆍ독 공동학술대회를 계기로 양국의 기업과 연구소(또는 대학)이 참여하는 산ㆍ학ㆍ연 협력형 공동 R&D를 제안했고, 이에 양국 정부는 ’서비스 로봇‘ 분야 과제에 대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원대상은 양국 기업과 연구소(또는 대학)이 구성한 컨소시엄으로, 총 3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연간 양국 각각 약 2억 원씩, 3년간 최대 12억 원을 지원한다.

지원분야는 △환자도우미 및 실버케어 로봇 △전문치료 로봇 △지성ㆍ감성형 소셜 로봇 △협동 로봇(재난대응 로봇 포함) 등 서비스로봇이다.

독일은 로봇 분야에 있어 주요 제조사ㆍ서비스 로봇 분야 중소전문기업 뿐 만 아니라, 프라운호퍼 연구재단, 독일항공우주센터(DLR) 로봇메카트로닉스 연구소 등 주요 연구소를 두루 갖추고 있다.

이번 R&D 사업을 통해 로봇 분야에 있어 독일의 우수한 기업과 대학, 연구소와 협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했다.

'한-독 2+2 프로그램' 공고문은 산업부ㆍ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 사업은 독일의 인더스트리 4.0 (Industry 4.0)을 바탕으로 기업, 대학, 연구소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추진 중인 독일의 제조업 혁신에 관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로, 관심 있는 우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란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열애설·사생활 루머로 고통…실체 없는 '해외발 루머' 주의보 [이슈크래커]
  • 사내 메신저 열람…직장인들 생각은 [데이터클립]
  • 연준, 기준금리 7회 연속 동결…올해 금리 인하 횟수 3→1회로 줄여
  • 금융사 CEO도 힘싣는 '트래블카드'…과열 경쟁에 효과는 ‘미지수’
  • 권도형, '테라사태' 6조 원대 벌금 낸다…美 당국과 합의
  • ‘과외앱 20대 또래여성 살해’ 정유정, 대법 선고…1‧2심 무기징역
  • '나는 솔로' 20기 정숙의 뽀뽀 상대 드디어 공개…'뽀뽀남'은 영호
  • 야유하는 중국팬 향한 캡틴의 '3대0 제스처'…'손흥민 도발' 웨이보서도 화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981,000
    • +0.58%
    • 이더리움
    • 5,009,000
    • +1.01%
    • 비트코인 캐시
    • 638,500
    • +1.11%
    • 리플
    • 690
    • +1.32%
    • 솔라나
    • 217,900
    • +2.93%
    • 에이다
    • 615
    • +3.02%
    • 이오스
    • 986
    • +1.86%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40
    • +1.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74,350
    • +2.62%
    • 체인링크
    • 22,480
    • +5.84%
    • 샌드박스
    • 578
    • +3.58%
* 24시간 변동률 기준